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명수 (서울신학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성경과 신학 성경과 신학 제91권
발행연도
2019.1
수록면
109 - 167 (5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일부 한국사 학자들이나 정치사학자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신적 기원을 주로 1917년의 대동단결선언에서 찾고 있다. 하지만 이런 노력은 위 의 선언서가 실질적으로 국내외 동포들에게 별로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을 뿐만이 아니라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 인하여 새롭게 전개되는 국제정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필자는 전 통적인 견해대로 제1차 세계대전을 승리로 이끌고 전후 새로운 국제질서를 만들려고 했던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가 보다 직접적으로 3⋅1운동과 임시정부의 성격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본다. 윌슨은 기독교적인 계약사상에 바탕을 둔 서구 민주주의의 원칙, “통치자는 피통치자의 동의에 근거해서 통치”해야 한다는 원칙에 의거해서 민족자결주 의를외쳤다. 이런정치철학을가장잘표현한것이미국식민주주의, 곧자 유민주주의이며, 미국은 이것을 온 세계에 전파하려 하였다. 윌슨의 이런 정 신은 미국, 상해, 일본의 한국인들에게 알려졌고, 이들은 미국 대통령과 국제 사회에 청원서를 보내며 조선의 독립을 강조하였다. 한국인의 독립만세운동은 곧 바로 새로운 정부를 세우려는 운동으로 이어졌 다. 1919년 4월 11일에 성립된 상해 임시정부는 먼저 인적인 구성에서 기독 교인들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당시 정부를 대표하는 인물 은 이승만, 실질적인 살림을 맡은 내무총장은 안창호, 가장 중요한 외교를 담당하는 외교총장은 김규식이 맡았다. 대종교인도 여기에 가담하였지만 기 독교만큼 중요한 위치에 있지 않았다. 임시헌장의 내용을 보면 첫째, 넓게 보면 종교적인 성격,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독교적인 성격이 잘 나타나 있었다. 전문, 제 7조, 선언문에는 대한민국의 신의 뜻을 따라서 만들어진 나라이며, 그 사명은 인류의 문화와 평화를 증진 시키는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신의 나라의 기초가 된다고 밝히고 있다. 이 문구는 보편적인 종교적 표현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임시정부의 구성원 가 운데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인이었음으로 기독교적인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임시헌장은 미국식 헌법을 따라서 자유민주주의적인 정부를 지향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중요한 몇 가지만 지적한다면, 1)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 이며, 2) 권력은 의정원의 결의로 정부가 통치하며, (이것은 9월 11일 헌법에 는 대통령제와 삼권분립으로 발전함), 3) 주권은 남녀, 귀천, 빈부의 모든 계 급을 뛰어넘어 평등하며, 4) 종교와 소유의 자유(이것은 9월 헌법에는 영업 의 자유를 첨가함)를 포함한 개인의 기본권은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1919년 4월 11일에 만들어진 대한민국 임시헌장은 미국식 헌법과 많이 유사 하며, 자유민주주의의 기본질서를 따르고 있다. 이 임시의정원의 헌법은 그 뒤 많은 굴곡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정신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고, 이것이 1948년 대한민국 헌법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헌 장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1948년의 헌법으로 이어지고 있는지는 앞으로 더 욱 연구할 과제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