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소비자의 기호와 감성이 다양화되면서 소비환경에서도 매장 공간환경 및 서비스 경험 등이 제품선택에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서는 차별화된 공간이미지 창출을 위해 오브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하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전달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적극적 참여가 가능하고 작품 감상과 쇼핑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어 쇼핑 체류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는 유행에 민감하고 일탈의 분위기를 발휘하는 공간이므로 작가들의 실험적 시도가 비교적 자유롭다. 이에 본 연구는 오브제가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 어떻게 표현되는지 그 특성을 사례 분석하고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경쟁력 있는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 수립을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기존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오브제,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오브제 표현특성을 도출한다. 오브제 표현특성을 상징적, 기능적 특성으로 구분하고 상징적 특성은 연상성/주목성, 소재는 자연물/인공물로 구분한다. 기능적 특성은 공간분할/행위유발, 요소는 공간구성/장치로 구분하여 분석기준을 제시한다. 선정한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를 사례 분석하여 오브제의 표현특성과 중요도를 살펴본다. (결과) 사례분석결과 오브제 표현특성은 상징적>기능적 특성 순으로 나타났고, 상징적 특성은 주목성>연상성, 소재는 자연물>인공물 순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특성은 행위유발>공간분할, 요소는 장치>공간구성 순으로 거의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사례공간의 모든 항목의 합계가 중간 이상으로 각 분석 항목을 고루 반영하였다. (결론)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오브제 표현특성은 파사드 쇼윈도우 부터 주제가 암시적으로 나타났으며, 내부공간에서 기대 이상의 스토리 구현으로 사용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시도하고 있었다. 오브제를 공간 중심에 배치하고 사용자의 친밀도를 향상시켜 쇼핑경험이 오래 기억되도록 표현 되었다.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서 오브제 감상과 쇼핑이 이루어지는 상업, 예술, 문화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더욱 집중적인 연구가 계속되길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growing diversity of consumers’ preferences in modern society, the spatial environments of stores and service experience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the selection of products in the consumption environment. Fashion flagship stores induce users’ communication and deliver brand identities, installing objects to create differentiated spatial images. This can prolong the shopping time because users can participate actively, and they can appreciate objects and do the shopping simultaneously, in a satisfactory manner. Since a fashion flagship store is a space sensitive to fashion and exhibiting an atmosphere of deviation, artists’ experimental attempts are relatively freer there. Thu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xamples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of objects in fashion flagship stores and to present design direc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competitive fashion flagship stores, focusing on the results. (Method) Through a theoretical study of objects and fashion flagship store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ies, object expression characteristics were drawn. The object expression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symbolic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associativeness and attractiveness, while themes could be both natural and artificial.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space division and affordance, while elements were divided into space composition and equipment for analysis. The cases of the selected fashion flagship stor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objec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n the object expression characteristics, symbolic ones were more than functional ones. In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attractiveness was more than associativeness, while in themes, natural ones were more than artificial ones. I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ffordance was more than space division, while in elements, the device was more than space composition. All numbers were similar. The sum of all items of the spaces in the case was above the average, which evenly reflected each analyzed item. (Conclusions) As for the object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fashion flagship stores, the theme implicitly appeared from the facade show-window, and by the implementation of stories beyond expectations from the interior space, it attempted to induce users’ active participation. Objects were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space, and the intimacy was enhanced so that the shopping experiences could be remembered for a long time. Hopefully, more intensive studies will continuously be conducted on the communications of commerce, arts, and culture in which the appreciation of objects and shopping will be achieved in fashion flagship sto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