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현호 (경기대학교) 박홍성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호보안학과) 채규칠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호보안학과)
저널정보
한국경호경비학회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시큐리티연구 제65호
발행연도
2020.1
수록면
397 - 424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드론은 IT·융복합·센서 등의 특징을 가지고 첨단 기술이 융합된 혁신기술의 결정체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핵심기술 중에 하나이다. 드론의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여 대중화, 소형화되고, 그 활용 범위는 확장되어 군사용, 산업 및 공공분야, 취미용, 상업용 등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드론의 시대’라는 용어까지 생겨났다. 그러나 증가 하는 드론 기술의 발전과 드론의 시장규모 만큼 많은 장점이 있겠지만, 활용되는 목적에 따라 구성과 구조가 쉽게 달라질 수 있어 드론에 의한 위협도 커지며 악용되는 사례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특히 군집드론의 테러 개념은 우리가 상상만 했던 공상 과학영화나 게임에서 나오는 전유물이 아니며, 주요 선진국에서는 미래 전장에 투입을 계획할 정도로 게임체인저급 잠재력을 인정받고 R&D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군집 드론 테러 대응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그에 대한 대응방안은 문헌연구를 통해 아래와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드론의 불법행위에 대한 처벌법 제정과 법 집행기관에게 안티드론과 관련된 권한을 부여하는 방안이 시급하다. 둘째, 드론 테러의 대응을 위하여 전문인력을 포함한 전담부대 및 방어 대응팀을 창설하고 나아가 중국과 일본 등 주변국의 동향을 파악하여 대책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민·관·군이 공동연구와 기술 공유를 통해 공동대응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새롭고 완벽한 대응체계가 구축될 것이다. 넷째, 국가안보를 위하여 국가중요 시설 및 국가보안시설에 군집드론을 식별 및 탐지하고 타격 및 저지할 수 있는 장비의 도입이 절실하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