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러브록의 가이아: 사이버네틱 시스템으로서의 가이아
Ⅲ. 라투르의 가이아: 생물막(biofilm)으로서의 가이아
Ⅳ. 가이아를 명명하기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류세 시대, 가이아 명명하기, 대면하기 그리고 기거하기 - 스텐게르스, 라투르, 해러웨이의 가이아론 또는 가이아이야기 -
철학
2022 .11
생태 위기에 대한 지구학적 대응: 성스러운 지구와 세속화된 가이아
종교문화비평
2022 .09
생태환경 운동의 가이아와 러브록의 가이아의 간극: 러브록의 핵에너지 개발 담론을 중심으로
인간·환경·미래
2022 .1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문명 전환: 근대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
문명과 경계
2022 .09
「채식주의자」로 본 코로나19의 양면
어문론집
2022 .03
무한 우주에서 닫힌 세계 혹은 갇힌 지상으로 - 라투르의 정치생태학과 우주주의적 지구론 -
환경철학
2021 .12
[생각의 창] 지구 ‘가이아’에게 가장 지독한 해충은 인간이 아닐까?
유레카
2023 .12
인류세, 가이아, 그리고 하나님의 새로운 창조(creatio nova)
한국여성신학
2021 .12
두 사건에서 보는 지구적 전환(two geological turn): 우리는 어떤 지구를 상상할 것인가 -홍대용의 자전설과 자법어물(資法於物), 라투르의 대지설과 사고 전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06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와 아리스토파네스의 ‘신통기’ 비교연구
서양고전학연구
2020 .09
인류세와 욕망 그리고 윤리적 삶
철학연구
2025 .02
‘섬’의 시각에서 본 인류세: 새로운 복원력 개념을 통한 대안의 모색
인간·환경·미래
2022 .04
인류세와 지속가능한 생존
윤리연구
2019 .01
환상에서 현실로: 인류세, 기후변화, 문학적 수용의 과제
인문과학
2016 .01
인류세의 (한국)문학 서설
한국문예창작
2020 .01
인류세 논의의 ‘유학적’ 의미
한국철학논집
2022 .11
Anthropocene and Its Visual Images: Focusing on T.J. Demos’s Against the Anthropocene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22 .10
기후변화 시대 인간의 조건의 변화: 인류세에 아렌트 다시 읽기
공존의 인간학
2025 .01
인류세와 지구환경과학
철학과 현실
2023 .03
인류세 논의의 윤리학적 의미와 도덕교육적 적용
환경철학
202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