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정책연구 20-07]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비자정책 방향 연구
발행연도
2021.2
수록면
1 - 155 (15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COVID-19, which started in December 2019, has been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and has continued for over a year. On March 11, 2020,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declared the third pandemic in history, and recently, the number of new confirmed cases has risen to more than 1,000 units a day in Korea.
In addition, consumer issues after COVID-19 may have emerged to distinctive type from before, such as the rapid increase in consumer damage related to COVID-19, and the spread of non-face-to-face transaction, so-called ‘untact’ transaction. According to 1372 Consumer Consultation Data, the number of consumer consultations for major items such as overseas travel, health and sanitation products, etc. has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COVID-19. It is also expected to see rapid changes in the consumption environment, such as increased uncertainty and risk over new infectious diseases, the spread of non-face to face culture throughout consumer life, and the acceleration of digital & green economic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report, in order to establish the direction and countermeasures of consumer policy in the post-corona era, it has been conducted that consumer issues related to COVID-19 were reviewed, consumer big data and expert surveys in consumer policy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consumer policy in the post-corona era is to resolve uncertainty and risk caused by new infectious diseases, strengthen consumer rights and interests in digital and online trading environments, and strengthen consumer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The implementation tasks and detailed tasks were presented as well.
By all means, it is expected that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consumer rights and interests by setting the direction of future consumer policy represented by the new normal and being used to prepare practical tasks.

목차

[표지]
[머리말]
[국문요약]
Ⅰ. 연구 배경
Ⅱ. 연구 내용
Ⅲ. 연구 결과
[차례]
표 차례
그림 차례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코로나19 관련 소비자이슈 고찰]
제1절 코로나19의 발생과 동향
제2절 코로나19 관련 소비자문제의 발생
제3절 포스트 코로나 환경 분석
[제3장 코로나19 관련 소비자 빅데이터 분석 결과]
제1절 분석 대상 및 방법
제2절 일반 현황
제3절 주요 품목별 현황
제4절 소결
[제4장 코로나19 관련 소비자정책 분야 전문가 조사 결과]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코로나19 관련 환경변화에 따른 소비생활 변화 진단
제3절 코로나19 관련 소비자이슈 및 정책대응
제4절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비자정책 방향 및 대응
제5절 소결
[제5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비자정책의 방향 및 대책]
제1절 소비자정책의 기본 방향
제2절 세부 대책
[참고 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332-001692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