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순교 (경북대학교)
저널정보
동아인문학회 동아인문학 東亞人文學 第54輯
발행연도
2021.3
수록면
249 - 295 (47page)
DOI
10.52639/JEAH.2021.03.54.24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문은 이용상 연구의 근간이라 할 자료의 체계적 일별을 위해, 화산이씨 가승을 포함하여, 여타 관련된 24종의 사료를 표로 일괄 정리하였다. 이를 1子 계열(①, ②, ④~⑧, ⑩, ⑮~⑱, ㉑,㉒, ㉔)과 2子 계열(③, ⑨, ⑪~⑭)의 가승으로 大分하되, 시기별로 일련번호를 매겨 축차적 정리를 행하였다. 항몽의 근거, 대월의 상황 파악 자료로 자주 인용되어 온 ⑲ 《甕津府 邑誌》, ⑳ 《受降門紀蹟碑》, ㉔ 《花山君本傳》 등에 대해서도 자료의 편찬 연대에 따른 시기별 위치, 내용의 가감과 차이, 사료의 한계 등을 전체 기록 속에서 조감하였다. 특히 화산이씨 가승 중에서 주목되지 않은 ⑧ 〈追配表節祠疏〉, ⑮ 〈3修譜序〉, ㉑ 〈中樞府同知事諱奎精墓碣銘〉 등의 내용을 면밀히 검토, 評定하였다.
전체 기록을 일별할 때, 이용상의 화산군 被封의 배경과 까닭, 고려로의 이거 당시 대월의 政情, 대월의 왕계 등에 대한 서술이 1) 매우 多岐多樣한 갈래를 형성한다는 점, 2) 후대로 올수록 내용의 補正과 加筆이 더해진다는 점, 3) 항몽에 대한 서술의 부재, 혹은 항몽에 대한 서술의 회피 등이 보인다는 점 등을 거론할 수 있다. 곧 화산이씨 家乘에서 ‘대월과 이용상에 대한 서술’은 처음부터 완비된 것이 아니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차 내용의 보정이 확인된다. ⑧ 〈追配表節祠疏〉에서 이용상의 실존을 전제로 한 조선 조정에의 공식 소청이 제기된 점 역시 눈여겨 볼 대목이다. 간혹 타성 저자에 의한 기록의 경우 가승과는 일정한 차이가 드러나기도 하였다. 이와 관련, 특히 ⑮ 3修譜 序(1837)나 ㉑ 〈中樞府同知事諱奎精墓碣銘〉의 서술은 주목된다. 아울러 여러 기록들을 엄밀히 대조, 비교한 결과 수항문 역시 Lyˊ Long Tường’이 벌인 항몽의 상징적 존재로 여겨져 온 것과 달리, 討倭, 혹은 土賊의 진멸과 연결할 요소가 확인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Lyˊ Long Tường’과 花山 李氏 家乘
Ⅲ. Lyˊ Long Tường’과 대월 Lyˊ조의 계보
Ⅳ. Lyˊ Long Tường’의 항몽을 담은 諸 기록들
Ⅴ.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001-001644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