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 초록
Ⅰ. 코로나19와 한국 종교, 그리고 천주교회
Ⅱ. 코로나19가 드러낸 한국 천주교회의 현실
Ⅲ. 코로나19로 변화하는 교회, 그 안에서 발견되는 희망
Ⅳ. 나가는 말: 재난과 시련의 시기는 성찰과 성숙의 때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천주교회의 대응과 변화
종교연구
2021 .08
그리스도교 종말론과 한국 사회의 변동: 종교사회학적 관점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23 .12
인공지능(AI) 시대, 한국 천주교회에 대한 사회학적 전망
신학전망
2025 .03
한국 천주교회의 미국 천주교 외방선교회(메리놀회)와의 교류와 그 의의 : 1911~1923
교회사연구
2016 .12
한국 천주교회의 제주해군기지 반대운동 전개과정과 신학적 함의
신학전망
2018 .06
일제강점기 평양교구의 세계 천주교회사 연구
교회사학
2024 .09
보편 종교의 ‘특수한’ 자리 잡기 -한국 천주교회의 기원 논쟁과 최근의 논점들-
서강인문논총
2024 .12
천주교회의 관료제적 특성이 한국교회의 제2차 바티칸공의회 수용에 미친 영향 : 1980년대 공인-비공인 논란을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2016 .12
The Crisis of Korean Catholic Church in the Post-Secular Society : In the Light of the Legitimacy Crisis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15 .12
천주교회의 제주해군기지 반대운동 (2007~2017) : 종교사회학적 관점
종교문화연구
2017 .12
쿠바 혁명 정권과 가톨릭교회의 관계에 대한 연구
스페인어문학
2019 .01
코로나19 상황에 대한 한국교회의 대응과 선교적 성찰 ‐ ‘빅데이터-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한 과제 분석과 실천적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
장신논단
2020 .12
1930년대 초 · 중반 군산 천주교회 초기 신자들의 거주 및 이주 양상 -구교적(舊敎籍) 분석을 중심으로-
교회사연구
2019 .06
"It Isn't Just Us": The Korean Catholic Church's Responses to Corona-19 as Seen in Diocesan Bulletins
Journal of Korean Religions
2022 .10
팬데믹 2년, 교회의 사목적 대응과 전망 그리고 가톨릭 시민의 가능성
신학전망
2021 .12
시노드 교회를 지향하는 한국 천주교회의 도전과 희망: 종교 사회학적 접근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22 .12
만인사제론에 관한 신학적 고찰
신학연구
2018 .06
대항적 책임의 교회론 : 디트리히 본회퍼의 교회론 연구
한국조직신학논총
2024 .03
내한 선교사 번하이슬(C. F. Bernheisel, 1874-1958)의 가톨릭교회 비판:「神學指南」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2015 .01
포스트 코로나 19 시대와 한국교회의 공공성 : 예배와 공동체성을 중심으로
ACTS 신학저널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