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불온한 공감–존재의 사유, 너머
한국철학논집
2017 .02
[작품론] 에로스의 인력引力, 혹은 번짐의 미학
시조시학
2015 .12
[배움터 풍경] 수업의 사계
새국어생활
2017 .12
‘무연사회(無縁社会)’의 관점에서 바라본 가족 -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의 『붉은 손가락(赤い指)』을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20 .05
망묵굿 巫歌에 나타난 저승觀念의 談論的 硏究 - 〈도랑선비〉, 〈짐가제〉, 〈바리데기〉를 대상으로 -
어문론집
2021 .06
死類·非死類 한자의 죽음 표현 어휘와그 한자의 활용
한중인문학연구
2015 .01
[생태수필 연재] 별마루의 사계③ - 빗소리
수필미학
2024 .09
한일 영화에 그려진 장의사 -『행복한 장의사』와 『굿바이』의 비교연구 -
일본문화연구
2021 .07
[교양이의 미술 톡톡!] 주세페 아르침볼도의 ‘사계’ 연작
유레카
2022 .07
歌舞伎に描かれた死と性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2 .04
분석 미학: 무엇을 어떻게
美學(미학)
2018 .12
从《奔月》中的嫦娥形象探索时代女性的命运
동아인문학
2016 .03
『논어』에 나타난 죽음 인식과 불멸성의 추구
孔子學
2017 .10
『일본문학 속의 사계 - 한국문학과의 비교를 통하여』 (최재철 저, 소명출판사, 2015)
비교문학
2017 .02
基于互动构式语法的致使性述补构式“X+死”研究
중국언어연구
2024 .06
[작품론] 잔광殘光의 미학, 혹은 “끝물”의 아름다움 : 홍진기의 시조미학
시조시학
2017 .06
조선후기 경주 방어리(防禦里) 사계(射契)와 동계(洞契)의 호혜와 협동 가치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0 .12
[작품론] 영원과 찰나, 혹은 고미술古美術의 시조미학
시조시학
2016 .12
‘수필미학’이 나아갈 길
수필미학
2023 .03
충청 유학의 교육 사상 형성 과정 고찰: 사계와 우암을 중심으로
한국철학논집
2022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