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표지]
[목차]
그림차례
[1. 들어가며]
[2. 히가시오사카시 산업의 특성]
[3. 히가시오사카 지역 산업 생태계 변화 과정]
가. 하청 구조를 벗어난 독립적 기업 출현과 네트워크 구성 과정
나. 도쿄 오타(大田)구와의 비교로 알아본 히가시오사카 산업 생태계의 특성
다. 제조품 출하액 추이로 본 히가시오사카 산업의 차별성
[4. 산업 공동화 위협에 맞서는 지방정부의 지원 정책]
가. 네트워크 중시주의
나. 기업 밀착적 실용주의
[5. 히가시오사카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
가. 주택지와 공장 간 갈등의 민주적 해결
나. 남녀 공동 참여를 추구하는 평등주의적 정책
다. 미래 세대를 위한 모노츠쿠리 교육
[6. 나가며]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쇠락도시 위기에서 탈출한 도시들: 말뫼 빌바오 포틀랜드 히가시오사카
LAB2050 연구보고서
2020 .01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지방 산업구조 전환 전략
국토정책 Brief
2025 .01
[구루와 목민관 대화] 김병준 전경련 회장직무대행과 유정복 인천시장이 본 ‘분권(分權) 시대’_“중앙정부는 지방정부를 믿어라”
월간중앙
2023 .05
중국 지방정부의 비전통안보 대응현황
한반도 포커스
2023 .02
[지방정부 그린뉴딜] 에너지 전환 정책, 지방정부가 나서야 - 중앙-지방정부 거버넌스 구축, 하향식 아닌 상향식으로
지방정부
2021 .07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정부개혁
한반도선진화재단 기타 단행본
2016 .11
지방정부의 코로나19 대응 사례: 서울시 정책 동향
한국관광정책
2020 .07
사회변화에 따른 지방정부의 개념과 기능
정책연구
2017 .12
공무원 재난관리 교육의 효과성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공동대응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9 .08
‘지방자치단체’ 대신 ‘지방정부’로 부르자
지방정부
2023 .07
지방소멸,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2022 .11
정부신뢰 영향요인의 분석: 중앙 및 지방정부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22 .02
사회적 자본이 지방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주민들과 선출직 기관들간 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016 .11
지방선택세와 지방재정 : 플로리다 지방정부(카운티) 지방선택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학회 세미나자료집
2015 .11
미국의 정부형태별 역할분담과 지방재정구조 분석 시사점
정책연구
2017 .12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제안
지방정부
2022 .09
충북지방정부의 통상정책 현황과 대응방향
연구보고서
2015 .12
새 정부에 바란다
충북 Issue & Trend
2017 .06
새 정부, 이것은 풀자
법치와 자유
2022 .03
지방정부의 디지털 전환 : AI기반 정부의 방향과 과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21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