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아기산 봉황사 事蹟과 승탑
Ⅲ. 봉황사 승탑 塔主와 건립시기
Ⅳ. 봉황사 승탑의 표기 방식과 양식적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미황사 승탑을 통한 조선후기 승탑의 조영체계 고찰
동악미술사학
2019 .01
友雲堂 眞熙 分舍利塔 硏究
동악미술사학
2015 .06
납탑, 불복장 규범의 새로운 예 - 印佛과 印塔
동악미술사학
2022 .06
실상사 승탑 조영으로 본 실상산문과 정권
불교미술사학
2017 .01
남양주 흥국사 <성임당탑> 연구
불교미술사학
2023 .03
日本 古代 石塔의 建立 背景과 展開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6 .12
지리산 단속사 가람 배치 연구- 2탑·금당·강당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015 .01
高麗-朝鮮時代 分舍利 浮屠의建立 記錄과 樣相 그리고 造成 背景
불교미술사학
2015 .01
여주 高達寺址의 浮屠와 塔碑에 대한 고찰
동악미술사학
2015 .12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 연구
동양미술사학
2024 .02
화원(畫員)으로 불린 승려: 조선시대 불교회화의 제작자
불교미술사학
2022 .10
신라 쌍탑가람의 기원과 출현배경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20 .12
순천 松廣寺 普照國師 甘露塔과 甘露塔碑에 대한 고찰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20 .03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의 장엄(莊嚴) 고찰
미술사학
2018 .02
고려시대 청석탑에 관한 연구
불교미술사학
2016 .01
남양주 水鍾寺의 조선시대 舍利塔에 대한 고찰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5 .03
불상의 귀 표현으로 본 조선 후기 조각승의 계보별 특징
미술사연구
2020 .06
端應의 安東 鳳凰寺 三世佛坐像 및 三殿牌 연구
미술사학
2021 .08
梁 武帝와 隋 文帝의 塔像儀禮와 佛敎的 `敎化` 政治 : 懺悔와 受戒, 그리고 感應과 滅罪의 과정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6 .09
18세기 경북 의성의 불교회화와 제작자 - 밀기(密機), 치삭(稚朔), 혜식(慧湜)의 불사(佛事)를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