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중원언어학회 언어학 연구 언어학연구 제58호
발행연도
2021.1
수록면
227 - 249 (23page)
DOI
10.17002/sil..58.202101.22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ed for a pragmatic approach of choice between interchangeable tenses. In general, particular types of tense-aspect combinations seem fixed in English grammar level. However,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their boundary may be blurred and tied to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From the survey-based analysis of native and korean non-native speakers, the major findings are shown as follows; 1) Present Perfect or Past Perfect can be replaced with Simple Past by native speakers. 2) Tense-extension between adjacent tenses implies the resilient characteristic, which allows language users to make a flexible choice. 3) The pairing-relation of Present Perfect and particular time-adverbials (i.e., since, until now, for, so far) shows the mismatch in real language-use unlike the concept described in the Korean version of English grammar textbooks. Accordingly, tense-choice should be recognized not by a grammatical category but from a pragmatic lens. For this reason, the shift from a grammatical category to pragmatic dimension might be needed for both Korean English teachers and Korean English learners.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705-001476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