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문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과 방글라데시 코로나-19 상황 개관
Ⅲ. 국내 방글라데시 이주노동자의 코로나-19에 관련된 차별 경험
Ⅳ. 코로나-19가 방글라데시 이주노동자에게 끼친 사회·경제적 영향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방글라데시 이주노동자의 한국 이주와 영구정착 과정
문화역사지리
2017 .08
Migrant Workers` Remittance and its Economic Impact in Bangladesh
아시아연구
2015 .03
An Ethnographic Study on Bangladeshi Workers Trend to Settle in Korea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국내학술회의
2016 .07
A Study on the relative job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factors of Bangladeshi Migrant Workers in Korea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국제학술회의
2019 .06
이주노동자의 차별대우와 균등대우에 관한 법·제도와 현실 : 경산시 이주노동자의 사례
다문화와 인간
2017 .12
이주노동자의 안전보건 불평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019 .06
한국 이주노동자는 코로나19를 어떻게 경험하는가?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06
건설업 이주노동자의 산업재해와 위험수용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와다문화
2024 .08
기여자와 자원봉사자: 싱가포르의 포용적 이주노동자 담론의 역설
현대사회와다문화
2023 .05
전라남도 거주 이주노동자의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2023 .06
이주 노동자 주거복지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법학논총
2015 .01
방문자와 이방인 : 이주노동자에 대한 메타포의 전환을 위하여
사회이론
2015 .06
캄보디아 이주노동자의 역량 습득에 대한 질적연구
직업교육연구
2019 .01
장률 감독의 〈풍경〉과 이주노동자의 재현
다문화사회연구
2020 .02
이주노동자 산업안전보건 연구동향 네트워크 분석
지역발전연구
2017 .12
The Settlement Factors and Processes of Bangladeshi Migrant Workers in Korea: An Ethnographic Study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국제학술회의
2017 .02
전북지역 이주노동자 지원활동의 전개 양상과 그 변화: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다문화
2022 .02
싱가포르의 이주노동자와 코로나-19 대응: 이주노동자 정책변화와 중대 전환점을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
2021 .12
한국 체류 이주노동자의 복지태도 : 네팔 국적 E-9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2022 .04
이주노동자의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한 고찰 -네덜란드의 이주노동자 언어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