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며
2. 기존 연구 검토와 이론적 배경
3. 386세대 담론의 남성헤게모니와 위기에 처한 남성성
4. 386세대 담론 속 가리워진 ‘386세대 여성’
5. 나가며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혁명이 아닌 혁명, 세대가 아닌 세대 - ‘4 · 19세대’의 세대 이해 방식에 대한 검토
한국현대문학연구
2023 .04
아는 세대가 모르는 세대에게
신학정론
2018 .12
4월혁명과 세대론적 기획-1960년대 초 소설 속 남성 젠더 수행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2020 .01
한국사회의 세대간 갈등구조에 대한 철학적 성찰 - 만하임의 세대간 문제와 푸코의 세대간 주체 권력론을 중심으로 -
철학연구
2022 .11
86세대와 여성
문화과학
2020 .06
변한 것은 ‘세대’가 아니라 ‘시대’다
철학과 현실
2022 .03
디지털 전환기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실태에 따른 또래 문화에 관한 연구—메타버스 콘텐츠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24 .02
미래세대 위해 기성세대가 할 수 있는 일, 그가 보여줬다
제3시대
2017 .03
멍청한 세대, 원인은 책
인물과사상
2015 .02
디지털원주민 Z세대에 대한 대학선교방안 모색
대학과 선교
2020 .01
루마니아와 한국 사회의 세대 간 언어적 정체성 비교 연구
동유럽발칸연구
2019 .01
세대론에서의 세대 형성 요인과 상호세대론적 세대 개념의 물음
현대유럽철학연구
2021 .01
구비설화를 활용한 청소년 대상 세대 공감 문학치료 사례 연구-청소년의 ‘청년성 회복’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19 .01
486세대 아버지와 디지털세대 아들과의 소통에 관한 질적연구
목회와 상담
2016 .11
1960년대 이어령 문학에 나타난 세대의식 연구
한국현대문학연구
2018 .12
한국 사회의 세대 간 공정성
지식의 지평
2018 .11
세대담론 2018, 그리고 영화 <1987>
역사비평
2018 .02
독일로 이주한 한인 1, 2세대의 생애발달경험에 관한 재구성 연구: 삶의 전략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2017 .08
X세대에서 MZ세대에 이르는 청년 없는 청년 담론 비판
문화과학
2022 .06
재미 한인사회 세대 간의 문화적 갈등과 선교적 케어
한국개혁신학
2015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