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조선 책의 외양
Ⅲ. 목판과 활자, 그리고 필사
Ⅳ. 상업출판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전기 문화사 연구의 추이와 과제
역사와실학
2023 .04
J. Paul Getty Museum.『Old Testament Figures in Art』; 『Gospel Figures in Art』; 『The History of the Church in Art Series』(Book Review)
신학과 학문
2020 .01
몰리 굽틸 매닝, 이종인 역, 『전쟁터로 간 책들』(책과함께, 2016)
서양사론
2017 .03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엮음, 『아우구스투스 연구』(책과 함께, 2016)
서양사론
2017 .03
[서평] 『조선 불교사상사: 유교의 시대를 가로지른 불교적 사유의 지형』[김용태, 2021,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한국사상사학
2021 .08
한국의 문화사 연구 동향과 문화사 교육의 과제
지방사와 지방문화
2023 .11
조선후기 사찬사서(私撰史書)의 자료개관 및 연구 개황
한국학논집
2022 .12
[서평]『새로 쓰는 17세기 조선 유학사』[강지은, 2021, 푸른역사]
한국사상사학
2021 .08
19세기 후반 서양 활판 기술의 도입과 한글 천주교 서적의 출판
한국실학연구
2024 .06
[조선후기] 연속성의 관점에서 해석하기: 2017~2018년 조선후기사 연구동향
역사학보
2019 .09
서평 : 이용우, 『미완의 프랑스 과거사: 독일 강점기 프랑스의 협력과 레지스탕스』(푸른역사, 2015)
서양사론
2016 .03
[조선전기] ‘각개전투(各個戰鬪)’와 ‘암중모색(暗中摸索)’: 조선 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2021~2022)
역사학보
2023 .09
조선후기 서적 통제, 그 아슬한 의식의 충돌과 타협
한국한문학연구
2017 .01
Feature Book Review: A History of Chinese Political Thought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20 .02
[조선전기] 조선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2017~2018)
역사학보
2019 .09
동아시아 서적교류 현존자료의 사례와 유형―일본 와세다대학도서관 소장 조선간본과 조선본 간행자료―
日本學硏究
2024 .09
Thematic Book Reviews : Recent Books on Labor in South Korea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6 .12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재조명한 다산의 사서학
한국사상사학
2015 .01
국내 문학도서의 베스트셀러 요인 분석 연구
한국문예창작
2015 .01
‘3·1운동 100주년’과 ‘불매운동’ 속의 대중 출판물
역사비평
2020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