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서론
제1장 근대예술과 창조적 자아의 발견
제2장 생명 인식과 근대문학예술론의 탐구
제3장 생명-예술의 독립적 가치와 의의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日本語抄録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김억 연구의 현 단계와 과제
동악어문학
2017 .05
‘조선적 공동체’를 향한 ‘생명주의’의 모험 최호영, 『한국 근대문학의 저변과 생명의 심연 -동아시아 생명 사상과 한국 생명주의 문학의 지평』, 어문학사, 2018
민족문학사연구
2018 .01
‘노래’를 기억한 세대의 ‘朝鮮語 詩歌’의 기획 : 岸曙 金億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15 .08
李白詩 <黃鶴樓送孟浩然之廣陵>연구 — 시의 해석과 상상력의 문제
중국어문학지
2019 .01
살아있음(生命)에 대한 원불교의 생태학적 상상력 - 개벽의 생태 공공성을 중심으로 -
원불교사상연구원 학술대회
2021 .04
예안 유생 이원영의 기독교 수용과 섬촌교회 설립 의미— 『섬촌교회당설립일기剡村敎會堂設立日記』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2 .03
潁左 辛檍의 삶과 문학
국어문학
2022 .03
《論語》중의 數詞分析
중국학논총
2020 .01
김억의 알베르 사맹(Albert Samain) 시 번역을 다시 읽는다
동악어문학
2018 .06
김억 문예비평에서 음률(音律)의 문제
한국시학연구
2015 .08
‘인생’(人生) 개념의 정립과 한일 근대문학관 형성에 관한 비교 고찰―‘life’의 번역과 ‘생명’ 개념의 정착을 중심으로―
일어일문학연구
2018 .01
「私の」から「私たちの」へ - ラフカディオ·ハーン作品における、記憶とartists’s sympathy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2 .04
帝國과 植民地의 近代詩學: 김억(金億)과 우에다 빈(上田敏)의 文學論을 중심으로
일어일문학연구
2019 .01
김억의 예이츠 시 번역을 다시 읽는다 : 『오뇌의 무도』(1921·1923) 소재 『이엣츠 시(詩)』장을 중심으로
코기토
2020 .06
서늘한 생명의 말
제3시대
2016 .08
춤추는 생명
수필미학
2023 .06
근대 시학을 향한 김억의 모색과 도정 - 1930년 전후 문예론과 시형론(詩形論)을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24 .08
鴻門宴에 대한 서로 다른 기억의 공존 — 교육콘텐츠로의 활용 가능성을 겸하여
중국어문학지
2019 .01
「李生窺墻傳」과 「그 여자네 집」 함께 읽기를 통한 한문소설 수업 방안 모색
漢文敎育論集
2020 .01
생명은 그 자체로 ‘좋은 것’이다
인격주의 생명윤리
2023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