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곽태영 (곽병원 내과) 박창환 (곽병원 내과) 엄석현 (곽병원 내과) 황홍석 (곽병원 내과) 정덕원 (곽병원 내과) 서지영 (곽병원 내과) 김영성 (곽병원 내과) 곽동협 (곽병원 내과)
저널정보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영남의대학술지 영남의대학술지 제32권 제1호
발행연도
2015.1
수록면
60 - 64 (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 choledochocele is an expanded sac of the duodenal side of the distal common bile duct (CBD), and is categorized as a type III choledochal cyst. Unlike other choledochal cysts, it can be easily overlooked because of its very low prevalence, non-specific clinical symptoms, and lack of distinctive radiological findings. However, a patient having a repeated pancreaticobiliary disorder with an unknown origin, frequent abdominal pain after cholecystectomy, or repeated non-specific gastrointestinal symptoms can be suspected as having a choledochocele, and a more accurate diagnosis can be achieved via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and endoscopic ultrasound. Because it rarely becomes malignant, a choledochocele can be treated via 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and surgical treatment. The authors were able to diagnose choledochocele accompanied by a stone in a patient admitted to the authors' hospital due to cholangitis and pancreatitis. The patient's condition was suspected to have been caused by a distal CBD stone detected via multiple 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nd ERCP, and was successfully treated via EST.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