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I. 서론
Ⅱ. 신동문 시의 공간 분석
Ⅲ. 수평의 공간성과 공포증적 자아
Ⅳ. 수직의 공간지향과 저항하는 신체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김수영 시와 신동문 시의 어휘 사용과 네트워크 연구
우리말연구
2015 .01
신동문의 「풍선기」 연작에 나타난 시적 주체의 풍경 인식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2020 .01
한국 중세인들의 풍수관에 대한 새로운 해석 : 장지연, <고려·조선 국도풍수론과 정치이념> (신구문화사, 2015)
역사와현실
2016 .09
≪论语≫有关≪东文选≫汉诗研究
중국어문논총
2024 .04
신동문의 시 전집에 누락된 시편 연구
한국시학연구
2020 .02
윤동주 시의 공간과 시의식 연구
국어문학
2020 .03
《东文选》汉诗对《诗经》意象的借用与创新
어문론총
2022 .06
오규원 중기 시에 나타나는 공간과 몸의 관계 연구-『가끔은 주목받는 生이고 싶다』, 『사랑의 감옥』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22 .08
북한 문법의 복합문 연구 - 조선어리론문법과 조선어학전서를 중심으로 -
우리말글
2023 .06
신동엽 시의 정치적 낭만성과 혁명 논리
영주어문
2022 .02
신동엽 시에 나타난 탈식민적 장소와 다문화적 사유의 가능성
어문론집
2018 .12
볼노프(O. F. Bollnow)의 공간론 연구
윤리연구
2016 .03
신동문 연작시 「풍선기」에 나타난 공기 이미지 연구
한국시학연구
2018 .11
강신표의 한국문화 이해와 대대문화문법(待對文化文法)
한국문화인류학
2023 .03
신동엽 시의 ‘사랑’과 ‘죽음’의 양상과 의미 - 습작기 시를 중심으로 -
우리말글
2021 .09
5 ‧ 18정신과 타자를 위한 인간 ―문용동과 본회퍼의 생애를 중심으로
신학과 선교
2019 .01
신동엽 시에 나타난 장소의 윤리 연구
문학과환경
2022 .09
≪東文選≫의 編纂 體制와 文體 分類 및 ≪文選≫으로부터의 受容
중국어문학
2020 .01
한국 전통마을의 공간구성 재론(再論)
역사민속학
2019 .12
진천 평산 신씨 소장 고문서의 내용과 특징
역사와실학
2018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