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천병돈 (대진대) 노병렬 (대진대)
저널정보
대한철학회 철학연구 철학연구 제155집
발행연도
2020.8
수록면
171 - 192 (22page)
DOI
10.20293/jokps.2020.155.17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1세대 신유가 3인 중, 易學을 중국철학의 근원으로 규정한 馬一浮와 熊十力의 易學觀을 논하는데 목적이 있다. 易의 핵심 개념 즉 理氣・乾坤・闔闢・窮理盡性至命에 대한 馬一浮와 熊十力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易學관련 문헌: 馬一浮는 易學의 전반적인 이해라는 측면에서 象數易・義理易모두를 중시했다. 義理易으로는 程伊川의 『易傳』을, 象數易으로는 주자의 『易學啟蒙』을 높이 평가했다. 熊十力은 象數・義理를 부정하지 않았지만 ‘體用不二’의 관점에서 道家易과 程朱易學을 비판적으로 보았다.
理氣[道器] 論: 馬一浮는 程朱學的理氣論을 받아들여 理를 形而上으로, 氣를 形而下로 구분했다. 熊十力은 體用不二의 관점에서 氣를 理의 유행으로, 理를 氣의 條理로 파악했다.
乾坤闔[翕]闢・窮理盡性至命: 馬一浮는 程朱學적 관점을 그대로 적용하여, 乾과 坤, 그리고 闔과 闢을 병립 관계로 파악하고 있다. ‘窮理盡性至命理’에 대해 理·性·命을 理로, 窮・盡・至를 修로 파악하여 本體와 工夫로 나누었다. 熊十力은 乾坤은 하나이고, 翕闢은 본체가 작용할 때의 서로 다른 운동 양상으로 보았다. 窮理盡性至命에 대해서도 體用不二의 관점에서 本體와 工夫를 하나라고 주장했다.
『觀象巵言』은 馬一浮의 설명대로 초학자들을 위한 교재다. 그래서 개념해석에 중점을 두었다. 이런 관계로 馬一浮의 易學은 매우 전통적이다. 熊十力은 ‘體用不二’라는 자신의 철학적 관점에서 易을 해석했고, 그것을 기준으로 歷代易學을 비판했다.

목차

논문개요
Ⅰ. 들어가는 말
Ⅱ. 역대 易學 평가를 통한 馬一浮·熊十力의 易學觀
Ⅲ. 馬一浮·熊十力 易學의 理氣論
Ⅳ. 馬一浮·熊十力 易學의 乾坤闔闢・窮理盡性至命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