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솔 (전북대학교) 허승덕 (대구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언어치료학회 언어치료연구 언어치료연구 제29권 제3호
발행연도
2020.7
수록면
103 - 109 (7page)
DOI
10.15724/jslhd.2020.29.3.10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목적 : Mid frequency sensorineural hearing loss(MFSMHL)는 탈 주파수 듣기(off-frequency listening)에 의한 청취 왜곡을 피하기 위해서도 보청기 장착, 미세 조절 그리고 적응과정 등 각 단계마다에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이 연구 목적은 MFSNHL 증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고, 문헌과 함께 청각재활에 대하여 고찰하는데 있다.
방법 : 이 연구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청력이 경도부터 중등고도까지의 감각신경성 난청을 가진 2명의 학령기 아동과 1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청기는 국립음향연구소 비선형 처방법(national acoustic laboratories-nonlinear 2: NAL-NL2)을 기본으로 하는 제조사 추천 방식으로 조절하여 난청자에게 장착하였다. 실이 계측(real ear measurement; REM)과 미세조절은 보청기를 장착한 후 처음 방문하였을 때 시행하였다. 결과는 증례별로 맨 귀(unaided) 및 교정(aided) 청력의 변화 등을 통하여 전반적인 청각적 수행력을 관찰하였다.
결과 : 첫 보청기 조절은 청력손실이 심한 중간 주파수 대역의 경우 programmable increment at low level (PILL) 접근해야 한다. 청력손실이 적은 저음역과 고음역의 경우 환기구(vent), 도움관 직경(tube diameter), 확장(expansion), 탈 주파수 듣기를 배려한 조절이 필요하다. 이 연구 참여자들은 저음역 청력이 좋아서 난청을 쉽게 자각하기 어렵고, 난청 자각 정도가 낮아서 보청기 사용 만족도도 낮아질 수 있다.
결론 : 따라서 보청기 사용 방법 교육과 함께 정서적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 MFSNHL는 청력이 추가로 나빠질 수 있으며, 자가 청각선별을 포함한 청력 추적이 필요하다.

목차

Ⅰ. 서론
Ⅱ. 증례
Ⅲ. 논의 및 결론
Reference
참고문헌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037-001107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