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小學』의 학습과 朝鮮의 다이글로시아 - 조선 후기 『小學諺解』의 相異한 두 筆寫本을 중심으로 -
어문연구(語文硏究)
2018 .01
『소학』의 修養論과 治癒的 讀法의 모색 -兒童敎育을 중심으로-
漢文古典硏究
2019 .01
『여자소학』(1927년)의 주석 연구
한글
2020 .03
『소학』을 통해 본 조선시대 여성상
인문학연구
2016 .01
『소학집성(小學集成)』 판본에 대한 고찰
태동고전연구
2021 .12
진선(陳選)의 『소학(小學)』 주석서에 대한 고찰
태동고전연구
2024 .06
金長生의 『小學』 주석서 편찬과 西人 小學說의 수립
태동고전연구
2019 .01
『여자소학』(1927년)에 대한 기초적 연구
한글
2019 .03
[소학]의 청소년 교육 방법 연구
유학연구
2016 .02
<소학>의 한국적 변용 - 성호학파의 소학서류를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2021 .01
신정심상소학의 이솝우화 번역에 대한 연구
통번역교육연구
2020 .01
대학 신입생 인성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小學을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2016 .01
16세기 『소학』의 번역과 변화
코기토
2017 .02
『소학』의 통합적 효행코칭 방안 - 켄 윌버의 AQAL에 따른 2분면 관점에서-
효학연구
2016 .01
아동독자와 아동서사의 형성 : 『신정심상소학』(1896)을 중심으로
스토리앤이미지텔링
2015 .12
유근의 『초등소학수신서』(1908)와 삽화의 시각성
한국문학과 예술
2017 .03
세종시대 『소학』의 보급·장려와 그 역사적 함의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8 .08
盧相稷(1855-1931)의 지향과 『女士須知』의 의미 : ‘女士’ 개념의 맥락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역사와실학
2017 .11
英祖의 世孫교육과 王統전수 : 『大學』의 활용을 중심으로
역사와실학
2015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