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탈동독 주민들과 탈북자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사례 연구
평화학연구
2015 .06
해외체류 탈북자와 북한인권 개념의 복합구조 : 국민, 난민, 이주민
다문화사회연구
2016 .08
탈북자 문제와 주변국 이해관계
계간 외교
2019 .07
고학력 지식인 탈북자가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현상
상담학연구
2017 .08
탈북자의 지속과 북한인권개선 방안
한국과 국제사회
2017 .01
탈북자 정체성의 정치학 : 종편에서의 ‘탈북미녀’의 등장과 ‘탈북자’ 정체성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16 .05
분단체제 탈북민 정책의 인식과 이행과제: ‘배제적 통합’의 영속화에 대한 비판
이화젠더법학
2019 .12
북향여성이 겪는 국가폭력에 대한 고찰 - 제3국 체류부터 신변보호담당관 단계까지 -
이화젠더법학
2020 .12
탈북 아동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아동학회지
2018 .08
중국거주 탈북자 난민인정 문제와 한국의 난민정책
디아스포라연구
2017 .12
북한이탈주민 상담의 효과적인 개입요인: 국내 학술지 분석*
인문사회 21
2021 .01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분석과 다문화교육 방향 모색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2018 .02
Site for Multivocality : Locating Overseas North Korean Defectors
통일과 평화
2018 .01
북한이탈여성 통일 관련 인식에 관한 연구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2018 .02
Representation and Self-Presen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Image, Discourse, and Voices
Asian Journal of Peacebuilding
2020 .01
재중탈북자의 난민 인정 여부와 법적 보호 방안 : 중국법과 국제인권법 비교를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2017 .11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상담 및 교육적 개입방안 : 학교기반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2018 .01
A study on the framing of North Korean Defector in the media: Focusing on the case of Y. S. Kim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2024 .08
Stereotyping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Supporting Policy in South Korea: Policy Discourse Analysis based on Governmentality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ety : OMNES
2025 .01
한국 독립영화에서 탈북자의 장소상실과 정체성의 형성: <처음 만난 사람들>과 <무산일기>를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