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민족문화학회 한민족문화연구 한민족문화연구 제69권 제69호
발행연도
2020.1
수록면
49 - 88 (4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는 1974년 故 김일근 교수의 「新發掘의 諺簡」에 소개된 풍양 조씨 조병길가 한글편지 4점 이외에 새롭게 추가로 확인된 편지 80여 점을 소개하고 그 특징을 살피고자 하였다. 특히 각 편지에 대한 발ㆍ수신자 및 그 관계 및 발신 연도를 밝히고 내용적 특징을 논하는 서지적 검토에 집중하여 고찰하였다. 새 자료 풍양 조씨 <조병길가언간>은 현재 필자가 소장하고 있으며 총 111점 중 발신자와 수신자가 명확한 84점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병길가언간>은 개인의 일상을 이야기하면서도 혼란스러운 19세기 말의 시대적 상황을 대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자료사적으로 의미가 있다. 대부분이 1893~1896년도에 집중되어 있는데 동학농민운동, 청일전쟁, 갑오개혁 등 역사적 사건이 일어났던 시기이기도 하다. 편지에는 역사적 사건을 반영하는 내용들이 매우 사실적으로 적혀 있다. 동학농민운동으로 인해 재물을 약탈당하고 괴롭힘을 당하는 양반의 참담함, 조선에서 일어난 청일전쟁에 대한 두려움, 단발령에 대한 사대부가 여인의 견해, 혼례, 노비 매매 등 19세기 말 혼란스럽고도 급변하는 조선의 다양한 모습을 적고 있어 생활문화사적으로도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 유교적 사회 윤리가 강조되었던 조선의 사회적 특성상 한글로 전하는 연애편지는 매우 적다. 특히, 부부가 아닌 관계에서 주고받는 편지는 더욱 드물다. <조병길가언간>에는 연서 8점이 존재하고 있어 애정편지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친족 용어, 방언 등을 살필 수 있어 국어사적으로도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조병길가언간>에 대한 국어학적, 생활사, 사회문화사적 부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심도 있는 논의가 지속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