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Preface
Ⅱ. The Dispatch of Chinese and Japanese Armies, and the Withdrawal of the Peasant Army from Chŏnju Castle
Ⅲ.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Peasant Army’s Attitude towards the Political Situation
Ⅳ. The Battle of P’yŏngyang and the Movements of the Peasant Army
Ⅴ. The Japanese Army’s Entrance into China and the Second Peasant Uprising
Ⅵ. Conclusion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동학농민전쟁과 일본군
역사연구
2014 .12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asant War of 1894
Korea Journal
1994 .12
Tracing the Course of the Peasant War of 1894
Korea Journal
1994 .12
청일전쟁에 대한 한·일의 기억과 전승 : 증폭과 망각의 양극
역사와 세계
2014 .12
전쟁을 유희화하는 아동의 연설과 소국민화
외국학연구
2018 .01
The Korean War 1950-1953
Korea Journal
1967 .07
日清、日露戦争期における日本キリスト教とその朝鮮認識に関する研究
일본문화연구
2014 .10
한국전쟁기 전쟁시의 국가주의의 시선
한국시학연구
2008 .04
이승만의 『청일전기』 번역·간행과 자주독립론
韓國史學史學報
2010 .01
전쟁 기억과 전후 중일외교의 중층구조 - 전쟁종료문제의 인식과 해석의 어긋남 -
日本思想
2013 .01
정창렬의 동학농민전쟁 연구의 내용과 의의
한국인물사연구
2016 .09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the Growth of the New Social Forces of the 1894 Peasant War
Korea Journal
1994 .12
Peasant
Korea Journal
1988 .09
Japan’s “Distorted” Memory of the Donghak Peasant Uprising and the Sino-Japanese War : A Focus on the July 7, 1894 Incident Japanese Military Possession of the Joseon Palace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4 .09
일본정부의 청일전쟁 개전 논의와 그 성격 : 청일전쟁의 역사적 의의와 관련하여
역사와 세계
2014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