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책의 대강
Ⅱ. 얼개 구성과 대안적 시각
Ⅲ. 새마을운동에 대한 편견과 성과
참고 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시간과 공간의 상호작용 : 새마을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2016 .11
소진광 교수의 「못다 한 강의: 현실 세계와 학문 세계」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23 .03
이주의 시대, 이민현상과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균형감 있게 고민한 작업 : 이혜경 외. 2016. 『이민정책론』. 박영사
다문화사회연구
2016 .08
조국, 『절제의 형법학』(박영사, 2014)
저스티스
2015 .02
1970년대 새마을운동 성공 마을의 특성과 사회적 자본 요소 탐색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2016 .11
영사조력법의 시행과 재외국민보호 문제
계간 외교
2021 .04
Power and Water in Central Asia. By Felippo Menga.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18. 194 pp. ISBN: 9780367667351 (paper); ISBN: 9781138678033 (cloth); ISBN: 9781315559179 (eBook). DOI: 10.22679/avs.2021.6.2.011
Acta Via Serica
2021 .12
가족법 주석서의 典範 —『주해친족법』(全 2권, 박영사, 2015)에 대한 서평—
가족법연구
2015 .07
국제법상 조약관계에서 상호주의에 관한 고찰 : 1963년 「영사관계에 관한 비엔나협약」에 대한 미국의 실행을 중심으로
동아법학
2018 .02
[INTERVIEW] 46개국 교과서에 한국의 새마을운동 모델 사례 게재하도록…_염홍철 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
지방정부
2021 .09
개도국 농촌개발을 위한 새마을운동의 국제적 확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2016 .05
서울 도시공간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법, 서울의 일상공간은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가
정책리포트
2024 .10
공간적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와 공간회귀분석의 활용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08
새마을 운동의 태동에 관한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연구
로고스경영연구
2015 .03
기후협상일지(최재철 저. 박영사, 2020, 377쪽)
계간 외교
2020 .10
마을과 학교를 잇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
2021 .12
개항기(1899~1906) 群山駐在 日本領事館分館의 설치와 主任書記生의 활동
[Jthink] 전북학연구센터-전북학연구
2019 .12
마을만들기 활동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12
마을만들기의 추진단계별 로컬거버넌스 형성에 관한 연구 :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017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