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과 구성
제2장 다국적기업의 투자 철수사례
1. 까르푸(Carrefour)의 한국 철수
2.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3. 미쉐린(Michelin)의 일본 오타공장 폐쇄
4. GM홀덴(Holden) 호주 철수
5. 소결
제3장 우리나라의 외국인 투자기업 현황
1. 투자자 국적·산업·지역별 분포
2. 철수하는 외국인 투자기업의 특성
3. 소결
제4장 외투기업 활동이 국내기업 고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1. 연구 배경
2. 기존 연구
3. 실증분석
4. 실증분석 결과
5. 소결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2. 다국적기업 철수에 대응하는 정책방향
3.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다국적기업 철수의 영향과 정책대응 방안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0 .04
다국적기업 철수의 영향과 정책대응 방안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9 .12
외국인투자기업의 철수 결정요인과 시사점
이슈페이퍼
2020 .04
Antecedents and Outcome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Market Knowledge Management : Evidence from Korean Firms
산업경제연구
2015 .02
Chinese MNCs as Risk Avoiders in Cross-Border Acquisition : Host Country Choices by Chinese MNCs, 1992~2008
전략경영연구
2016 .04
중국 내 다국적 기업과 현지 사원 간의 관계성이 기업 태도, CSR 프로그램 참여 의도 및 연결적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통학보
2015 .04
환율 불확실성하에서 일본 다국적 기업의 자회사배치와 기업 가치
국제회계연구
2017 .12
현지시장지향성의 매개변수 효과를 통한 다국적기업의 해외시장 투자성과에 대한 실증연구
무역학회지
2019 .04
Knowledge Integration with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대한경영학회지
2016 .06
철수밖에는 길이 없나 ‘한국GM’ : 공적자금 8100억 투입해 겨우 살려놨더니…
매경이코노미
2025 .03
모방적 동형화 압력이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현지 자선 활동에 미치는 영향: 자회사 기업 특성 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제경영리뷰
2024 .06
다국적기업 국내 자회사 국제화 속도에 따른 포트폴리오 구성전략과 경영성과 비교
국제상학
2019 .01
다국적 기업의 이전가격과 외국인 투자 지원 정책
연구자료
2020 .04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자율성이 자회사 현지 직원의 다국적기업에 대한 조직일체감에 미치는 영향: 산업 내 경쟁 정도의 조절효과
국제경영리뷰
2024 .06
한국 다국적기업 해외직접투자 네트워크의 시·공간적 변화 패턴: 전자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4 .09
Multinational Corporations,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Knowledge Issues: Literature Review
국제경영연구
2016 .01
문화가치에 따른 다국적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차이 : 한국, 독일, 영국의 비교연구
문화산업연구
2016 .06
역량과 불확실성이 지식추구형 해외직접투자 시기에 미치는 영향 : 일본 제약/화학 다국적 기업의 해외연구소 설립을 중심으로
전략경영연구
2015 .12
The Economic Effect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 Withdrawal and Policy Implications
[KIEP] World Economy Brief
2020 .03
다국적기업의 본국철수 위협이 유치국의 외국기업 조세 및 보조금 정책에 미치는 영향
국제통상연구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