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Abstract
1. 緖論
2. 사환기: 理想과 古法의 不照應
3. 유배기의 독법 변화(1): 三代井地論
4. 유배기의 독법 변화 삼대(2): 一元的 三代公田論
5. 유배기의 독법 변화(3): 二元的 三代公田論
6. 경전 해석의 특징
7. 結論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새자료 정학유의 흑산도 기행문「부해기(浮海記)」와 기행시
한국한문학연구
2020 .01
조선 후기 하천지리지(河川地理志)의 등장과 편찬에 관한 연구 - 중국 역도원(酈道元)의 『수경주(水經注)』와의 비교를 겸하여
영토해양연구
2024 .06
당대(唐代) 묘지명에 나타난 중국 기원(起源) 고구려 유민(遺民) 일족(一族)의 현황과 그 가계(家系) 기술 : 고구려 유민(遺民)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제언
역사와현실
2016 .09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88> 아버지 캐릭터 분석 : 삼원론(三元論)적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17 .03
신라초 북부여계 파소·박혁거세의 단군조선 계승과 태백산의 마고제천 - ‘백두산 신시’를 이은 ‘태백산 신시’의 중창 -
仙道文化
2018 .08
대종교(大倧敎)의 삼원(三元)적인 민족주체적 생명철학에 관한 현상학적 해석
종교연구
2017 .04
인간 정약용
수필미학
2018 .06
關北儒學者 鐺洲 朴琮의 生涯와 道學淵源 考察 -『鐺洲集』을 中心으로-
우리어문연구
2016 .01
불평등과 양극화 시대에 생각하는 다산 정약용의 사회이론 : ‘위민’과 ‘토지개혁론’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2018 .12
대종교(大倧敎)의 불도유(佛道儒) 삼교회통관(三敎會通觀) 분석
종교연구
2018 .04
정약용이 학문에 매진한 이유
월간에세이
2019 .06
다산 정약용의 역사인식과 토지론
다산과 현대
2019 .12
정약용과 국회전자청원
철학과 현실
2021 .12
毅堂學派의 문학에 나타난 用夏變夷 수용과 계승
율곡학연구
2021 .09
강진과 남양주에서 만난 정약용
다산과 현대
2019 .12
정약용의 재원확보구상과 관료 및 민의 역할
역사와실학
2020 .08
정약용 질병시의 의학인류학적 고찰 -질병과 치료 묘사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
2023 .02
조선의 유배형과 다산 정약용
다산과 현대
2016 .12
直接のやりもらい構文の構造 - 蓮語論の観点から -
일본문화연구
2020 .10
오규 소라이(荻生?徠)와 정약용의 효사상의 비교연구
동양철학연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