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군인의 개념과 성격
Ⅲ. 군인 관련 법체계 개선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헌법재판소 2018. 6. 28. 선고 2011헌바379, 383, 2012헌바15, 32, 86, 129, 181, 182, 193, 227, 228, 250, 271, 281, 282, 283, 287, 324, 2013헌바273, 2015헌바73, 2016헌바360, 2017헌바225(병합), 2012헌가17, 2013헌가5, 23, 27, 2014헌가8, 2015헌가5(병합) 전원재판부 결정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2. 10. 25. 선고 2011헌마307 전원재판부
가.청구인은 1987. 5. 13.생 남자로서 구 병역법(법률 제4685호) 제8조 제1항, 제2조 제2항에 의하여 만 18세가 되는 해의 시작일인 2005. 1. 1. 제1국민역에 편입되었으므로, 그 때에 구 병역법(법률 제4685호) 제8조 제1항으로 인한 기본권침해 사유가 발생하였고, 남성에 한해 병역의무를 부과하고 있는 구 병역법(법률 제975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5. 12. 28. 선고 91헌마80 全員裁判部
가. 청구인은 1990.7.29. 이 사건 법률조항들에 의하여 현역병에서 전투경찰순경으로 전임(轉任)되었으므로 바로 그 날이 이 사건 법률조항들에 의하여 청구인의 기본권이 침해된 날이라고 할 것인데, 그 날로부터 180일이 경과된 후인 1991.5.6. 이 사건 헌법소원의 심판을 청구하였음이 기록상 분명하므로 이 사건 법률조항들에 대한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9. 2. 25. 선고 97헌바3 전원재판부〔합헌〕
1.가.사회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예비역이라 할지라도 병력동원훈련소집 등으로 입영하게 되면 군대라는 특수사회의 일원이 되고, 동일한 지휘체계하에서 현역병과 함께 복무하게 되는바, 소집기간 중 군의 질서를 유지하고 일사불란한 지휘권을 확립하려면 그 예비역들을 현역병과 동일한 지휘, 복무, 규율체계에 복속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군형법 제1조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5. 7. 21. 선고 94헌마136 全員裁判部
가. 공정거래법(公正去來法)은 고발(告發)에 대한 이해관계인(利害關係人)의 신청권(申請權)을 인정하는 규정(規定)을 두고 있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법해석상(法解釋上)으로도 공정거래위원회(公正去來委員會)의 고발권행사(告發權行使)가 청구인(請求人)의 신청(申請)이나 동의(同義) 등의 협력(協力)을 요건으로 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아무런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8. 12. 26. 선고 2007헌마444 전원재판부
가. 경찰공무원과 군인의 관계를 보건대, 경찰공무원은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의 보호와 범죄의 예방·진압 및 수사, 치안정보의 수집, 교통의 단속 기타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그 임무로 하고( 경찰법 제3조), 군인은 전시와 평시를 막론하고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기 위한 군에 복무하면서 대한민국의 자유와 독립을 보전하고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8. 6. 26. 선고 2005헌마1275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법률조항의 의미는 국방부 등의 보조기관 등을 현역군인으로 보할 것인지 아니면 군무원으로도 보할 것인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현역군인으로만 보하되 그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역군인이 아닌 군무원은 대통령령에 규정될 내용에 관계없이 국방부 등의 보조기관 등에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군인권의 실효성 보장을 위한 군인권보호관 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유럽헌법연구
2020 .01
국가안보의 숨은 영웅, 군인가족의 복지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
한국보훈논총
2024 .09
군인의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법률에 대한 위헌심사 - 헌재 2018. 4. 26. 2016헌마611 외 2개 결정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언론과법
2019 .12
정신전력 관련 법령의 제·개정 근거 및 토대 정립 : 군인복무기본법 및 정훈문화활동훈령 제·개정 방안
정신전력연구
2024 .11
군인정신의 역사적 고찰과 외국군의 정신과 비교 연구
정신전력연구
2022 .05
군인의 인권과 관련된 헌법재판소의 결정 분석과 과제
인권과 정의
2016 .08
다문화 군인에 대한 장교들의 인식과 군 정책 방향
국방정책연구
2018 .01
손자병법에 나타난 리더의 군인정신 연구
정신전력연구
2022 .05
「군인의 지위 및 복무에 관한 기본법」에 관한 입법평론
입법학연구
2017 .01
군인의 의료를 받을 권리와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강원법학
2016 .10
의무복무 제대군인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훈논총
2020 .01
군인의 죽음과 관련된 몇 가지 법적 과제
국가법연구
2024 .08
병역의 의무를 바라보는 국가기관의 시각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
2024 .06
인구감소시기 강한 국방을 위한 병역제도 설계: 군인력 정책의 질적 전환을 위한 제안
국방정책연구
2024 .01
International Comparison of Military Welfare Service in the U.S., U.K. and Germany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Military Welfare Service
무역연구
2016 .01
군복무 경험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2019 .10
군 사법제도 개혁과 헌법적 의미에 대한 소고
연세법학
2021 .12
국방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군인의 가치관 재정립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정신전력연구
2019 .05
군사회복지사의 법적 근거 및 제도화 방안
한국군사회복지학
2016 .01
병역 대체복무제도의 역사적 구성? ‘잉여자원’ 관리와 발전에의 동원
사회와역사
2022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