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재호 (충남대학교) 김권일 (충남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공법학회 공법연구 公法硏究 第48輯 第2號
발행연도
2019.12
수록면
221 - 240 (20page)
DOI
10.38176/PublicLaw.2019.12.48.2.22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군인 법제의 체계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군인의 개념과 성격을 파악하고,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군인 관련 법률의 목적과 조화를 이루는 법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군인사법』과 『병역법』의 관계에서, 병도 군인의 하나임에 틀림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장교, 준사관, 부사관과 구별되어 규정하고 있는 법체계는 개선되어야 한다.『병역법』에서 병의 복무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현재 법률을 개정하여『군인사법』에서는 병을 포함한 군인의 복무를 규정하고,『병역법』에서는 병역의무를 규율하여 양자를 체계적으로 연결하여야 한다.
『군인의 지위 및 복무에 관한 기본법』과 관련하여, 이 법률은『군인사법』에 대한 특별법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 기본법의 성격을 갖는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군인과 구별되는 군무원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예비군의 경우 국군에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고 군인과 구별되는데, 과거 한국전쟁 당시에도 예비전력은 국군에 포함되어 있었고, 현재 일정한 경우 국군의 지휘를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필요하다면 예비군을 국군에 포함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군인의 개념과 성격
Ⅲ. 군인 관련 법체계 개선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7)

  • 헌법재판소 2018. 6. 28. 선고 2011헌바379, 383, 2012헌바15, 32, 86, 129, 181, 182, 193, 227, 228, 250, 271, 281, 282, 283, 287, 324, 2013헌바273, 2015헌바73, 2016헌바360, 2017헌바225(병합), 2012헌가17, 2013헌가5, 23, 27, 2014헌가8, 2015헌가5(병합) 전원재판부 결정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12. 10. 25. 선고 2011헌마307 전원재판부

    가.청구인은 1987. 5. 13.생 남자로서 구 병역법(법률 제4685호) 제8조 제1항, 제2조 제2항에 의하여 만 18세가 되는 해의 시작일인 2005. 1. 1. 제1국민역에 편입되었으므로, 그 때에 구 병역법(법률 제4685호) 제8조 제1항으로 인한 기본권침해 사유가 발생하였고, 남성에 한해 병역의무를 부과하고 있는 구 병역법(법률 제975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5. 12. 28. 선고 91헌마80 全員裁判部

    가. 청구인은 1990.7.29. 이 사건 법률조항들에 의하여 현역병에서 전투경찰순경으로 전임(轉任)되었으므로 바로 그 날이 이 사건 법률조항들에 의하여 청구인의 기본권이 침해된 날이라고 할 것인데, 그 날로부터 180일이 경과된 후인 1991.5.6. 이 사건 헌법소원의 심판을 청구하였음이 기록상 분명하므로 이 사건 법률조항들에 대한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9. 2. 25. 선고 97헌바3 전원재판부〔합헌〕

    1.가.사회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예비역이라 할지라도 병력동원훈련소집 등으로 입영하게 되면 군대라는 특수사회의 일원이 되고, 동일한 지휘체계하에서 현역병과 함께 복무하게 되는바, 소집기간 중 군의 질서를 유지하고 일사불란한 지휘권을 확립하려면 그 예비역들을 현역병과 동일한 지휘, 복무, 규율체계에 복속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군형법 제1조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5. 7. 21. 선고 94헌마136 全員裁判部

    가. 공정거래법(公正去來法)은 고발(告發)에 대한 이해관계인(利害關係人)의 신청권(申請權)을 인정하는 규정(規定)을 두고 있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법해석상(法解釋上)으로도 공정거래위원회(公正去來委員會)의 고발권행사(告發權行使)가 청구인(請求人)의 신청(申請)이나 동의(同義) 등의 협력(協力)을 요건으로 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아무런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08. 12. 26. 선고 2007헌마444 전원재판부

    가. 경찰공무원과 군인의 관계를 보건대, 경찰공무원은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의 보호와 범죄의 예방·진압 및 수사, 치안정보의 수집, 교통의 단속 기타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그 임무로 하고( 경찰법 제3조), 군인은 전시와 평시를 막론하고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기 위한 군에 복무하면서 대한민국의 자유와 독립을 보전하고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08. 6. 26. 선고 2005헌마1275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법률조항의 의미는 국방부 등의 보조기관 등을 현역군인으로 보할 것인지 아니면 군무원으로도 보할 것인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현역군인으로만 보하되 그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역군인이 아닌 군무원은 대통령령에 규정될 내용에 관계없이 국방부 등의 보조기관 등에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50-000576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