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는 말
2. 황제릉 제사의 시작과 중단(1949-1979)
3. 제사의 재개와 ‘공제(公祭)’
4. ‘국가급(國家級) 공제’의 시작과 진행(2004-현재)
5. 전파매체의 역할
7. 맺는말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 ‘황제黃帝’ 신화와 의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2) : 근대 이후부터 ‘신중국’ 성립 이전 시기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8 .06
중국황제黃帝 신화와 의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근대 이전 시기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7 .10
网络称谓语“X帝”词族研究
중국문화연구
2020 .02
한·중 고대 ‘국가’ 형태와 조상 관념 : 단군과 황제 조상 ‘상상’의 ‘고대적 기반’ 비교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16 .12
‘帝’字 本義에 대한 考察
중어중문학
2025 .03
중국의 정치지도자에 대한 개인숭배의 사상적 근원
중국학논총
2018 .01
홍산문화 황제黃帝영역설에 대한 비판(2) ― 다시 ‘옥웅룡玉熊龍’을 묻다
중국어문학논집
2022 .08
태평지제향(太平之帝鄕)의 서사적 구현, <몽견제석>
이화어문논집
2023 .04
王安石 新法의 施行과 皇帝 神宗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7 .11
《御選唐宋文醇》과 乾隆帝의 古文 指向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04
宋代 皇帝 短喪制의 傳統과 變容
동양사학연구
2023 .09
산수미학의 재해석과 ‘제망찰해(帝網刹海)’의 조형인식
인문과 예술
2022 .12
중국 상고사에서의 용 : 중국 문화사의 이해
유라시아문화
2022 .02
중종대 이문학관(吏文學官)의 등장과 한리과(漢吏科) 시행
온지논총
2024 .07
戊戌變法期 淸의 조선정책과 근대 외교의 수립(1895~1899)
중국근현대사연구
2022 .03
唐·宋·元의 律典에 具顯된 謀大逆罪의 構成要件과 刑罰體系 : 『唐律疏議』, 「名例律」 「十惡條」·「賊盜律」 「謀反大逆條」의 規定內容을 중심으로
역사와 세계
2018 .06
한국 근대 계몽기 소설 「몽견제석(夢見帝釋)」에 나타난 도교적 화소의 양상과 의미
이화어문논집
2020 .01
전통시대 한국의 蚩尤 인식
고조선단군학
2016 .12
中?始祖神??比?究
철학∙사상∙문화
2021 .01
신라의 옥대 설화와 그 정치적 의미
역사문화연구
2022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