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중국의 “현상 유지” 정책의 기원과 북·중의 한반도 통일정책(1949-1960)
Ⅲ. 중국의 반미·반소·제3세계 쟁취 및 문화대혁명과 한반도 정책(1960-1970)
Ⅳ. 중미화해, 일조선(一條線) 외교 전략과 중국의 한반도 정책(1970-1980)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초기 보훈정책의 수립
사림
2022 .04
‘신 냉전 시대’의 중국 공부
중국어문논역총간
2020 .07
냉전시기 중공의 외교노선과 북중관계의 전개
중국근현대사연구
2021 .09
One War, A Divided Peninsula, and Three Conflicting Images : The Korean War as Historical Memory in South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3 .12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와 한반도다자안보체제 구축 가능성 고찰
중국지식네트워크
2015 .03
독립국가연합 고려인 청년세대의 형성과 특징 연구 - 청년세대 단체를 중심으로 -
재외한인연구
2021 .02
‘신냉전’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대응: 중국 지식인의 논의를 중심으로
중국지식네트워크
2024 .05
냉전 시기 소련-북한의 비대칭동맹과 북한의 자주외교
슬라브硏究
2019 .01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North Korea’s China Policy under Kim Jong-un
중국지식네트워크
2022 .11
데탕트와 한반도, 실현되지 못한 제3의 길
역사비평
2018 .08
냉전사 연구의 궤적: 정통주의에서 담론적 전회에 이르기까지
史叢(사총)
2018 .01
냉전의 예외와 규칙 : 냉전사를 통해 본 한국 현대사
역사비평
2015 .02
Observing South Korea's Position in China's Foreign Policy from Three Dimensions
Korea Observer
2017 .03
냉전사 연구의 다변화: 새로운 시도들과 딜레마
역사학연구
2022 .02
『朝鮮義勇隊通訊』의 旣影印刊物에 누락되었던 號·期·面들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1 .11
푸틴주의와 한반도 - 2000년 이후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 변화
슬라브학보
2020 .03
미국의 38선 획정 원인과 목적(1943~1945)
역사학보
2023 .12
한국 문화냉전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인문과학
2023 .05
North Korea’s Third World Policy during the Cold War: Light and Darkness
Korea Journal
2023 .03
北韓‧中國의 國家關係 成立과 利害關係 衝突
중국사연구
2022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