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표지]
[목차]
표 차례
그림 차례
[머리말]
[국문요약]
[제1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법 연구 30년의 주요 동향]
제1장 형사법 연구 30년의 추세분석
제3장 수탁과제의 연구동향
제3장 형사법 개정에 관한 연구동향
제4장 형사법 연구 30년의 연구동향 및 과제
[제2부 형사정책 관련 연구동향 및 평가]
제1장 형사정책의 동향 및 평가
제2장 형사사법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3장 법과학과 위험관리 형사정책
[제3부 형법 연구동향 및 평가]
제1장 형사제재론
제2장 개별범죄론(I) : 음란물, 마약・약물, 의료
제3장 개별범죄론(II) : 경제
제4장 개별범죄론(III) : 명예・지적재산권・사이버
제5장 개별범죄론(IV) : 통일・안보, 환경・교통, 선거, 기타
[제4부 형사소송법 연구동향 및 평가]
제1장 형사사법기관 : 경찰, 검찰, 법원, 기타
제2장 형사소송절차(I) : 수사절차
제3장 형사소송절차(II) : 공판절차, 특수절차
[제5부 국제형사법 및 국제협력 연구동향 및 평가]
제1장 국제형사법 : 외국의 법제연구
제2장 국제형사협력에 있어서의 형사정책연구의 성과와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대법원 2001. 10. 26. 선고 2000도2968 판결
[1]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에서 말하는 공무원의 직무에 속하는 사항의 알선에 관하여 금품이나 이익을 수수한다 함은 공무원의 직무에 속한 사항을 알선한다는 명목으로 금품 등을 수수하는 행위로서 반드시 알선의 상대방인 공무원이나 그 직무내용이 구체적으로 특정될 필요는 없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6. 7. 21. 선고 2013도850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의료법 제2조 제1항, 제2항 제1호, 제2호, 제3호, 제5조, 제27조 제1항 본문, 제87조 제1항이 의사, 치과의사 및 한의사가 각자 면허를 받아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를 할 수 없도록 규정한 취지는, 각 의료인의 고유한 담당 영역을 정하여 전문화를 꾀하고 독자적인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국민이 보다 나은 의료 혜택을 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2. 26. 선고 2006도3119 판결
[1] 구 풍속영업의 규제에 관한 법률(2007. 1. 3. 법률 제817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제1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음란행위’란 성욕을 자극하거나 흥분 또는 만족시키는 행위로서 일반인의 정상적인 성적 수치심을 해치고 선량한 성적 도의관념에 반하는 것을 의미하는바, `음란’이라는 개념이 사회와 시대적 변화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7. 16.자 2005모472 전원합의체 결정
[1] [다수의견] 형사소송법 제420조 제5호에 정한 무죄 등을 인정할 `증거가 새로 발견된 때’란 재심대상이 되는 확정판결의 소송절차에서 발견되지 못하였거나 또는 발견되었다 하더라도 제출할 수 없었던 증거를 새로 발견하였거나 비로소 제출할 수 있게 된 때를 말한다. 증거의 신규성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4. 18.자 2010모363 결정
[1] 형사소송법 제420조 제5호의 재심사유에서 무죄 등을 인정할 `증거가 새로 발견된 때’란 재심대상이 되는 확정판결의 소송절차에서 발견되지 못하였거나 또는 발견되었다 하더라도 제출할 수 없었던 증거로서 이를 새로 발견하였거나 비로소 제출할 수 있게 된 때는 물론이고, 형벌에 관한 법령이 당초부터 헌법에 위배되어 법원에서 위헌·무효라고 선언한 때에도 역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3. 14. 선고 2012도13611 판결
[1] 피의자가 동행을 거부하는 의사를 표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경찰관들이 영장에 의하지 아니하고 피의자를 강제로 연행한 행위는 수사상의 강제처분에 관한 형사소송법상의 절차를 무시한 채 이루어진 것으로 위법한 체포에 해당하고, 이와 같이 위법한 체포상태에서 마약 투약 혐의를 확인하기 위한 채뇨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 채뇨 요구를 위한 위법한 체포와 그에 이은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5. 11. 25. 선고 2005도5831 판결
[1] 피고인 아닌 자의 공판기일에서의 진술이 피고인의 진술을 그 내용으로 하는 것인 때에는 형사소송법 제316조 제1항의 규정에 따라 피고인의 진술이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하에서 행하여진 때에는 이를 증거로 할 수 있고, 그 전문진술이 기재된 조서는 형사소송법 제312조 내지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Understanding Criminal Law in Korea
Journal of Korean Law
2024 .02
조선시대의 형사법제 연구 : 총칙의 현대 형사법 편제에 따른 재정립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5 .12
유기천의 생애와 형법학 - ‘과학적 형법관’의 이해를 위한 시론 -
형사법연구
2019 .01
조선시대의 형사법제 연구 : 조선 형사법제와 현행 형법과의 비교법적 검토(각론)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6 .12
비교형사법연구 20년간의 논의와 성과 : 형법총론 분야
비교형사법연구
2020 .01
한 · 일 형사정책 동향 비교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5 .12
Criminal Procedure of Korea
Journal of Korean Law
2024 .02
법치국가에서의 안전지향형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원광법학
2018 .01
형법의 문화수용 – 결혼목적 약취·유인죄 및 독일의 강제결혼죄를 중심으로
비교형사법연구
2019 .01
위험 형사법 확장의 문제점과 조화로운 모색
영남법학
2017 .01
형법개정과 형법학의 과제
형사법연구
2024 .03
형사법 개정방안 연구: 형법총칙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24 .12
성호 이익 형법사상 재조명
동아법학
2016 .08
4차 산업혁명에 있어 형법의 도전과제
법학논총
2017 .01
증거기반 형사정책과 형사입법
형사정책
2022 .10
동북아지역 북한 형사사법 연구동향 : 동북아평화협력구상 실현을 위한 동북아지역 형사사법 협력방안연구 8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5 .12
형사입법 지원을 위한 형사법 DB 구축 및 활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I )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24 .12
刑事政策指引刑法解释-走向回应刑法的途径
동북아법연구
2019 .01
인공지능 로봇의 형사책임과 형법의 ‘인격적 인간상’에 대한 고찰
원광법학
2019 .01
정보통신 관련 특별법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형사법의 신동향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