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안성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김성돈 (법학전문대학원) 류부곤 (국립한경대학교) 이정훈 (울산대학교) 이다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저널정보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연구총서 15-AA-11] 조선시대의 형사법제 연구
발행연도
2015.12
수록면
1 - 572 (57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Criminal law of South Korea has the history of severance from its Joseon Dynasty period law system and introduction of a modified form of German law system through Japan. Due to such a unique background, South Korean criminal law is experiencing a conflict between the legal culture and consciousness based on the traditions and the Western law system based on liberalism and objectivism.
It has been over 100 years since South Korea was modernized not of its own will but by the will of others. At this point in order to overcome such difficulties, it needs to approach the Joseon era criminal law from a new perspective of shedding new light on its traditional criminal law instead of its severance from the traditional criminal law.
To understand the Joseon era criminal law, the hierarchical order of social status and confucian moral order in the era should be first understood. This is because such factors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punishment and the strength of punishment.
This study aimed for a comparative research analyzing the Joseon era criminal law and cases on basis of Korea’s modern criminal law organization system. It shows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Joseon era and modern criminal laws.
The Joseon Dynasty had the doctrine of mandatory sentencing in its criminal law corresponding to the principle of legality, reflecting the factors of the evaluation of actions for criminal activities and the evaluation of results for criminal activities when weighing the gravity of a crime. It had provisions corresponding to the exclusion causes of illegality and the exclusion causes of irresponsibility with the provisions similar to consequently aggravated crime (erfolgsqualifiziertes Delikt), criminal attempts and complicity. It also had regulations similar to or more concrete and specific regulations than the modern criminal law in punishment or enforcement.
The existing studies of the Joseon Dynasty’s criminal law only provided superficial information on it, while this study reorganized the Joseon Dynasty’s criminal law into a modern criminal law system, and tried to analyze it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criminal law with a comparison and review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us, this comparative study will provide an objective and critical view of the current law, and serve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South Korean criminal law.

목차

[표지]
[발간사]
[목차]
표차례
그림차례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방향
제3절 연구방법
[제2장 일반적 고찰]
제1절 조선사회의 특징과 유교이념
제2절 조선사회의 형법의 특징과 법이념
제3절 조선의 사법기관
제4절 조선의 형사법원(法源)
[제3장 형법의 일반원칙과 적용론]
제1절 형법의 기능
제2절 죄형법정주의
[제4장 범죄론]
제1절 조선시대의 범죄개념 및 범죄론
제2절 구성요건론
제3절 위법성론과 위법성조각사유
제4절 책임론 및 책임조각사유
제5절 특수한 범죄유형
[제5장 형벌론]
제1절 조선의 형벌관
제2절 형벌의 종류
제3절 형의 가중 및 감면
[제6장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1)

  • 대법원 1996. 9. 6. 선고 95도2551 판결

    [1] 업무상횡령죄의 불법영득의사라 함은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꾀할 목적으로 업무상의 임무에 위배하여 보관하는 타인의 재물을 자기의 소유인 경우와 같이 처분하는 의사를 의미하고, 반드시 자기 스스로 영득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64-001998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