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 문화유산과 관련한 연구성과는 주로 현재까지 남아 있는 유적과 관련한 현황 파악과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한계는 근대 역사를 콘텐츠로서 활용하는 방안으로 진척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도 근대라는 시기의 특정 사건에 대한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종합적인 근대 문화유산에 대한 현황 파악과 활용을 조망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성과가 가지고 있는 특정 사건이나 분야가 아닌 근현대 문화유산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시작으로 보존 및 활용방안에 대한 광범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근현대 문화유산은 공간적인 범위를 현재의 전국으로 설정하고, 부동산과 동산 등의 유형유산을 형태적인 범위로 한정한다. 시대적 범위는 1876년 개항을 기점으로 하되, 근대성을 지닌 유산을 포괄한다. 또한 보존과 수집, 활용대상의 큰 범위는 국가 또는 도시군 단위의 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하여야 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사건, 인물, 장소, 양식, 건축 등과 관련하여 지역민이 공감할 수 있다는 점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각 지역의 명물로서 미래세대에 전승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유형의 것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기준에 입각하여 충남의 근현대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한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존방안은 예비문화재나 등록문화재로 포괄하는 제도 정비, 지속적인 보존과 활용을 염두에 둔 아카이브 및 콘텐츠 활용, 주민이나 주민단체가 스스로 진행할 수 있는 보존활동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들을 대상으로 한 근현대 문화유산의 활용방안으로는 문화상품개발, 지역 특산품을 관광화로 연계, 무형문화유산의 가치 제고, 매핑과 온라인서비스, 관광버스, 사진활용, 해상 관광 루트 연계를 통한 여행 및 관광으로의 활용, 상업공간, 여행자 숙소, 교육문화공간, 시민동호회 활동 지원을 통한 공간 활용, 스토리텔링 발굴, ‘주제’를 갖는 마을 조성, 웹툰 제작, 지역재생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Research outcomes related to modern cultural heritages are almost about grasping and application of current situation related to relics that are remained at present. The limits were promoted as a measure utilizing modern history as contents. However the object of this research was contents related to particular accident of the modern times, so it did not investigate grasping and utilization of current situation for general modern cultural heritages. This research intends to give broad suggestion about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after the start of worries about the method to define modern cultural heritages, particular accident or field of existing research outcomes. Modern cultural heritages set spatial range as the whole country of the present and restrict tangible heritages such as real estates, movables, etc. as typical range. Periodical range should be on the base of port opening of 1876, but include heritages with modern periodicity. In addition, the big range of preservation, collection, and application objects should restrict what are not nominated as nominated cultural heritages, cultural heritage materials, and registered cultural heritages of country or city unit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residents may sympathize in relation to accidents, persons, places, styles, constructions, etc. representing the area. Furthermore, it should set the types judged to have the value of transferring to the future generation as famous one of each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 preser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for modern cultural heritage of Chungnam suggested arrangement of systems including preliminary cultural heritage and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archive and contents activity considering continual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preservation residents or their groups can progress for themselves, etc. Also, as applications of modern cultural heritage for them,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relation between regional special products and tourism, improvements of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apping and online service, application of tourism bus and photo, application of trips and sightseeing by relating to marine sightseeing route, commercial space, tourist lodging, space of educational culture, application of the space through supports of citizen community activity, excavation of storytelling, creation of the village with ‘subject’, production of webtoon, and regional reproduction, etc.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