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시민사회와 공유하는 과거사 청산 성과
2. 한국현대사에서 시작된 국가폭력의 악순환
3. 전쟁 속에서 공권력에 의해 희생되는 사람들
4. 인권탄압으로 기득권을 유지하는 독재정권
5. 한국현대사에서 국가폭력 논의의 심화를 위하여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때론 매개된 폭력이 더 폭력적이다
지식의 지평
2015 .04
폭력과 한국사회
지식의 지평
2015 .04
욥기 내러티브에 나타난 폭력 메커니즘과 저항 담론 연구
신학사상
2023 .06
이동하 소설에 나타난 폭력 양상 연구 : 『폭력 연구』 연작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15 .06
한승원 초기 소설에 드러난 폭력의 두 가지 양상
현대문학이론연구
2016 .01
[과거사 문제] 지워지지 않는 역사
창비어린이
2019 .12
극단적 폭력과 시민다움 : 에티엔 발리바르의 반폭력의 정치에 대하여
철학연구
2017 .09
신채호의 파괴적 건설에 관한 연구
한국철학논집
2022 .08
`과거사`의 진실 규명과 역사교육 : `한국전쟁 전후 민간학살 사건`의 과거사 청산 문제를 중심으로
역사연구
2016 .06
한국정부의 과거사 청산 :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를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11
여성이 보는 한국사회의 국가폭력 “억압과 폭력에서 생명을 구하리니 (시편 72, 14)”
한국여성신학
2016 .08
폭력 극복을 위한 생물학적, 평화교육적 단초: 디퓨징과 서클 프로세스
기독교교육 논총
2015 .01
전쟁, 폭력, 반폭력에 관한 몇 가지 성찰
황해문화
2022 .12
폭력사회학 이론과 나치 폭력 연구
서양사론
2017 .09
폴란드와 독일의 과거사 청산으로 본 한반도 과거사 청산의 과제와 방향의 시사점: 앙케트위원회와 국가기억원 그리고 반민특별위원회를 중심으로
선교신학
2019 .01
반폭력으로서 돌봄 정치
황해문화
2023 .09
Sartre, Girard et la violence
프랑스학연구
2015 .01
폭력을 바라보는 두 시선: 벤야민과 아렌트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