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1. 머리말
2. 역사민속콘텐츠 창출 현황
3. 역사민속콘텐츠 대중화의 과제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역사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으로서 ‘문화 연구’를 전유하기
인문콘텐츠
2022 .04
역사문화콘텐츠의 미디어별 현황과 장르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동서인문학
2025 .02
체험형 역사콘텐츠와 한국고대사 : 역사적 상상력의 제고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2016 .12
문화콘텐츠연구의 방법론 설정을 위한 시론
인문콘텐츠
2022 .04
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의 토대에 대한 모색 : ‘문화’와 ‘콘텐츠’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인문콘텐츠
2016 .06
민속의 공공성, 공공민속학의 체험주의적 접근
남도민속연구
2022 .12
2000년 이후 민속연구의 양상과 향후 민속연구의 보완 과제 모색
한국민속학
2020 .05
민속연행원형(演行原型)의 개념규정과 관광문화재매개화콘텐츠로의 스토리두잉 메카니즘
비교민속학
2017 .12
권력과 저항 사이에서 -1980년대 민속의 정치적 의미 변화의 배경과 과정-
한국민속학
2019 .05
문화콘텐츠 필수 요건으로서 3중 구조(의미·재미·심미) 연구
인문콘텐츠
2020 .06
민속의 토대 변화와 민속 연구의 방향성 모색 -서울 민속을 중심으로-
서울민속학
2022 .12
민속을 소재로 한 ‘대한뉴스’의 제작 배경과 목적
비교민속학
2022 .10
민속과 대중매체의 관계 재고
비교민속학
2017 .12
역사영화를 매개로 한 역사비평의 가능성 : 역사대중화와 역사의 대중문화화 사이에서 역사연구자의 역할을 고민함
사학연구
2016 .03
어촌의 민속문화 연구 현황과 과제 : ‘마을민속’ 연구를 중심으로
민속연구
2018 .02
미디어 복잡성 시대의 문화콘텐츠학과 문화콘텐츠비평에 대하여
인문콘텐츠
2022 .09
문학의 공간 콘텐츠와 문화도시의 재생 : 김원일의 《마당 깊은 집》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
2018 .12
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학 개념에 대한 메타 비평 : 문화연구와 문화콘텐츠학의 비교 고찰 견지에서
인문콘텐츠
2024 .12
진화론적 관점으로 본 문화콘텐츠의 발생
인문콘텐츠
2018 .09
마을의 변화와 도시 민속 연구의 방향 전환
서울민속학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