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3. The Present Study
4. Method
5. Results
6. Discussion
7.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Linguistic Relativity: Evidence from Native Korean and English Speakers and Factors Affecting Its Extent
언어연구
2017 .01
언어에 대한 근대적 인식과 언어의 근대화
언어사실과 관점
2016 .01
Investigating Syntactic Interference Effects in Neural Language Models f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영어학연구
2024 .02
Linguistic representations of the coronavirus in English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3 .04
한국 언어인류학 연구의 성과와 전망
사회언어학
2020 .01
大阪日本橋の多言語化と地域的特徴 : 電気とサブカルチャーの街の言語景観
일본연구
2016 .05
Linguistic Diversity and Justice: The Role of Artificial Languages in Multilingual Societies
Journal of Universal Language
2023 .09
南北 言語 統合 政策에 대한 專門家 調査 結果 分析
어문연구(語文硏究)
2015 .09
From linguistic relativism to language learning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24 .05
한국어와 그리스어 이동사건의 어휘화 대조 연구
현대문법연구
2023 .03
A Study on Anger Emotion in English and Chinese
영어영문학
2016 .11
〈Linguistic representations of the coronavirus in English〉에 대한 토론문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3 .04
Linguistic Aspects of Political Discourse with Reference to English and Arabic Languages
Journal of Asia TEFL
2022 .03
Culture and Language Practices : A Cross-Linguistic Study of Task-Based Interaction in Korean, Japanese, English, Thai and Chinese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11
‘의미’라고 불리는 것들 사이의 상관관계 검토
한말연구
2023 .03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이동 사건 표현 양상 연구 : 어휘화 유형론을 중심으로
언어학 연구
2015 .07
이동사건의 경로와 방식의 인식과 부호화 과정 연구: 영어와 한국어 화자를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2019 .06
The Influence of Changing L1 on a Child’s Developing L2-English : A Longitudinal Study
응용언어학
2016 .06
Investigating Syntactic Transfer from English to Korean in Neural L2 Language Models
현대문법연구
2024 .03
Event-Based Language Typology through the Contrastive Analysis of English and Korean
현대문법연구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