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1. Introduction
2. Data to be Analyzed and Story-analyzing Method
3. The Aspects of Identity Expression of a North Korean Defector
4.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북한 방언과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연구: ‘남북 언어의 이질감 극복’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2024 .09
경계에서 이야기하기 : 탈북여성의 자기서사와 ‘다른’ 고백의 정치
코기토
2022 .06
Living on the Border? Human Rights and Selection Process in the Forced Mi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Korea Journal
2022 .03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의 교과과정에 관한 비교연구
동서비교문학저널
2019 .12
한국 교회의 북한이탈주민 인식 전환에 대한 모색- ‘공감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기독교사회윤리
2019 .01
북한이탈여성의 문화적응에 나타난 정체성 협상: 개인적 측면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2020 .01
북한이탈주민의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남북한 질병언어 소통 사례집의 발전 방안 모색 - 비의료인의 관점에서 -
한말연구
2021 .01
『7개의 이름을 가진 소녀: 탈북자의 이야기』를 통해 살펴본 탈북민의 비체(abject)로서의 자기 인식과 목소리 내기
동서비교문학저널
2022 .12
North Korean Defectors, States, and NGOs: The Case of Former Korean Residents in Japan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17 .06
차이의 지정학과 사랑의 정동 - 탈북을 소재로 한 아동청소년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2020 .01
탈북문학의 형성과 전개 양상
한국문예창작
2015 .01
Speaking Mouth, Writing Hand: The English-Language Autobiographie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Concept of Author Vocal-Writing
Situations: Cultural Studies in the Asian Context
2020 .01
사회통합형 북한이탈주민정책을 위한 다문화 공간론적 접근의 시사점
윤리연구
2018 .01
자기 삶 이야기와 자아정체성 :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인문학교실>의 언어 표현 자료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7 .03
북한이탈주민 지원체계로서의 기독교의 역할
기독교와 통일
2022 .12
탈북 문학에 표상된 지식인
춘원연구학보
2018 .12
신문기사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 지칭어 분석 : 지칭어와 관련어의 공기어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6 .09
탈북 소재 아동문학 작품의 교육적 수용 방향
한국초등국어교육
2021 .10
한국청년 그리스도인과 한국교회의 통일선교방안
신학지남
2017 .06
다문화시대 북한이탈주민정책의 개선 방향
윤리연구
2016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