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절차적 정의와 경찰활동
Ⅲ. 포렌식과 절차적 정의
Ⅳ. 포렌식 미란다 원칙의 필요성
Ⅴ. 결론
참고문헌
헌법재판소 2018. 6. 28. 선고 2012헌마191, 550(병합), 2014헌마357(병합) 전원재판부 결정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8. 8. 30. 선고 2016헌마344·2017헌마630(병합) 전원재판부 결정
가. 헌법재판소는 이 사건 헌법재판소법 조항에 대하여, `법원의 재판’에 헌법재판소가 위헌으로 결정한 법령을 적용함으로써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 재판이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한도 안에서 헌법에 위반된다는 한정위헌결정을 선고함으로써(헌재 2016. 4. 28. 2016헌마33 참조), 그 위헌 부분을 제거하는 한편 그 나머지 부분이 합헌임을 밝힌 바 있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2. 6. 23. 선고 92도682 판결
가. 형사소송법 제200조 제2항은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이 출석한 피의자의 진술을 들을 때에는 미리 피의자에 대하여 진술을 거부할 수 있음을 알려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러한 피의자의 진술거부권은 헌법이 보장하는 형사상 자기에 불리한 진술을 강요당하지 않는 자기부죄거부의 권리에 터잡은 것이므로 수사기관이 피의자를 신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6. 6. 14.자 2015모1032 결정
형사소송법 제72조의 `피고인에 대하여 범죄사실의 요지, 구속의 이유와 변호인을 선임할 수 있음을 말하고 변명할 기회를 준 후가 아니면 구속할 수 없다’는 규정은 피고인을 구속함에 있어서 법관에 의한 사전 청문절차를 규정한 것으로서, 법원이 사전에 위 규정에 따른 절차를 거치지 아니한 채 피고인에 대하여 구속영장을 발부하였다면 발부결정은 위법하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디지털 포렌식 직무의 효율 재고방안 고찰
디지털포렌식연구
2015 .06
범죄의사결정과 법집행 전략 : 절차적 정의 이론의 법집행 상의 함의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018 .06
증거수집 방식으로서 작동중인 정보시스템에서의 포렌식 절차의 검토
과학기술법연구
2019 .01
절차적 정의에 기반한 경찰활동의 국내 적용방안
한국경찰학회보
2020 .01
경찰 디지털 포렌식 조직구조와 업무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거점분석실과 전문상담관 제도를 중심으로
경찰학연구
2016 .09
표준규정과 판례 비교를 통한 디지털 포렌식의 법적 증거능력 인증기준
디지털포렌식연구
2017 .12
사회연결망분석기법을 이용한 디지털포렌식 연구동향 분석
디지털포렌식연구
2023 .03
경찰관의 절차적 정의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022 .09
절차적 정의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성향점수매칭(PSM) 기법을 적용한 준실험적 접근
형사정책연구
2022 .09
디지털포렌식 통합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6 .12
디지털포렌식 이미지 제작 모델에 관한 연구
디지털포렌식연구
2021 .06
디지털포렌식에서의 참여권 보장 방안
치안정책연구
2018 .01
금융감독원의 디지털 포렌식 개선방안 연구
금융감독연구
2021 .10
인권보호 측면에서의 법과학 감정 제도 및절차적 개선방안
과학기술과 법
2020 .01
한국형 디지털포렌식 수사절차 및 검증체계 구축방안
디지털포렌식연구
2021 .03
수사절차상 바이오 포렌식 증거의 인권침해에 관한 논의
법이론실무연구
2021 .05
효율적인 디지털 포렌식 조사를 위한 육하원칙 중심의 정보 처리 규격
디지털포렌식연구
2019 .06
이동식 저장매체의 은닉 영역에 대한 안티 포렌식 대응 기술 연구
디지털포렌식연구
2021 .09
독일 환경법상 절차하자의 법리에 관한 연구 - 독일의 「환경권리구제법」을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2020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