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임종순 (계명대학교) 김현정 (계명대학교) 이상훈 (농촌진흥청) 이삼빈 (계명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제26권 제7호
발행연도
2019.12
수록면
756 - 765 (10page)
DOI
10.11002/kjfp.2019.26.7.756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비타민 D 함량을 LC-MS/MS를 이용하여 96종의 다소비식품 중 곡류 및 관련제품(8종), 감자 및 전분류(1종), 당류(5종), 두류(5종), 견과 및 종실류(5종), 채소류(11종), 버섯류(10종), 과일류(31종), 난류(12종), 유지류(1종), 차류(1종), 조리가공식품류(1종), 식용곤충 등 기타(5종)를 분석한 결과, 25종에서 비타민 D가 검출되었다. 전체 시료 중 버섯류의 가장 많은 종에서 비타민 D가 검출되었으며, 그중 느타리버섯 생것(D2 3.85 μg/100 g, D3 3.54 μg/100 g)보다 열풍건조(D2 6.04 μg/100 g, D3 2.75 μg/100 g)에서 비타민 D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자연건조 시 비타민 D2가 약 100배(D2 644.72 μg/100 g) 증가하였다. 또한 동충하초(귀리, 번데기, 현미)에서 비타민 D2가 3.15-8.22 μg/100 g로 함유되었고, 노루궁뎅이버섯(생것) 및 아위버섯(생것)의 비타민 D2 함량이 각각 1.14 μg/100 g 및 7.15 μg/100 g로 검출되었으며, 동충하초(번데기)에서는 비타민 D3가 1.89μg/100 g 검출되었다. 곡류 및 그 제품군에서 도토리묵(D21.83 μg/100 g)과 강다옥 옥수수(D2 4.11 μg/100 g)에서, 두류 중 팥빙수용 팥(D2 1.52 μg/100 g)과 두유(D2 5.30μg/100 g, D3 0.83 μg/100 g)에서 비타민 D가 검출되었다. 과일류에서는 오미자청과 감귤류에서 비타민 D2가 0.30-1.43 μg/100 g로 미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초코바(땅콩카라멜, 쿠키 카라멜, 라이스 시리얼)에서는 비타민 D2가 2.22-5.50 μg/100 g 검출되었다. 난류에서는 메추리알, 오리알, 달걀의 모든 난황에서 비타민 D3가 3.59-95.04 μg/100g 검출되었으며, 메추리알, 오리알, 달걀 순으로 비타민 D3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달걀 난황(생것, 삶은 것)에서 비타민 D3가 63.96-95.04 μ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References

참고문헌 (2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059-000279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