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의 중국어학 연구자 통계 및 연구경향 분석 —《中國文學》을 중심으로
중국문학
2019 .01
새로운 중국고전문학 연구 방법론 모색과 융복합 연구— 2013년~2017년 ≪中國語文論叢≫의 중국고전문학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총
2018 .01
중국고전문학 수용의 공통성과 차별성
중국지식네트워크
2023 .05
여성 지식인 기각(綺閣)의『기각한필(綺閣閒筆)』연구
日本學硏究
2023 .05
한국한문학사 서설-국문학과의 통일적 인식을 위한 구상-
한국한문학연구
2016 .12
젠더적 시각에 의한 한문학의 재구성 논의에 대한 관견
한국한문학연구
2020 .01
希樂堂 金安老의 文章觀과 學問 興起論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17 .01
중국 내 한국 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역사비평
2020 .11
중국고전교육의 범위와 과제
언어학연구
2017 .01
중국 근현대 通俗文學의 정립과정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학논집
2019 .12
‘한문 고전 리더십’ 과목을 통한 새로운 ‘한문 교양’ 유형의 모색
漢文古典硏究
2022 .06
대학 한문학 전공 강의의 교수학습방법론과 대중화 방안
漢文學報
2024 .06
鲁迅的遗言和Chinese Characteristics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11
중어중문학과 전공수업 ‘중국고전소설과 콘텐츠’의 사례 — 학업효능감과 전공효용성을 중심으로
중국소설논총
2022 .04
루쉰魯迅의 중국 고대소설 연구 4— 일본 학자 시오노야 온鹽谷溫과의 학문적 교류
중국소설논총
2021 .08
미디어(media) 개념을 통해 본 개혁개방 이후 중국문학의 변화양상
중어중문학
2016 .09
한자학과 「한문 고전 읽기」 교육
漢文敎育論集
2024 .06
중국고전문학교수를 통한 인문교육
중국조선어문
2015 .07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 산문 교육의 의식과 지향
漢字漢文敎育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