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Introduction
II. Performing Transgendered (Fe)Males
III. Switching Gender in Shakespeare’s Verse
IV. Gender and Laughter: Between Affirmation and Subversion
V. Conclusion
Works Cited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好意伝達表現の男女差に関する考察 -告白場面に見られる発話機能を中心に-
일본문화학보
2020 .08
Re-Shaping the “Authentic” Body : Male Cross-Dressing in Tim Carroll’s Twelfth Night at the New Globe Theatre
Shakespeare Review
2018 .06
A Review of the Notion of Social Construction of Gender fro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언어과학연구
2019 .03
A Study of Gender Paradigm in Contemporary Korean Shakespearean Performances: Focusing on the Yohangza Theatre Company
Shakespeare Review
2020 .12
『십이야』에서 크로스 드레싱과 젠더 인식의 지연
Shakespeare Review
2020 .06
성별 범주의 인지적 특성
언어과학연구
2018 .09
Gender Issues in Maritime Discourse: A Corpus Linguistic Analysis in Maritime Web News
언어과학
2024 .08
Desire, Disguise, and Disguised Desires in William Shakespeare’s Twelfth Night
Shakespeare Review
2019 .12
규범으로서의 젠더에서 장치로서의 젠더로: 버틀러의 젠더 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20 .12
일상‧비일상적 지식장과 젠더의 안티노미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Ⅰ‧Ⅱ』를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연구
2019 .01
성고정관념과 이분법적 젠더정체성을 기초한 성서해석 해체하기
신학연구
2021 .06
한국어 교재의 성차별적 요소 연구
어문연구
2023 .06
젠더적인 관점이 반영된 중남미 기후변화 정책의 분석과 함의
스페인어문학
2020 .01
번역문학에서의 젠더 감수성 및 교육적 함의?Anne of Green Gables 한국어 번역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통역과 번역
2022 .04
성별 스테레오타입의 속성
영어영문학
2016 .05
UN 젠더 주류화 20년과 한국: 거버넌스적 조망
민족연구
2015 .01
이름의 성별에 따라 나타나는 음성상징성: 동물의 숲 주민 캐릭터 이름을 중심으로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022 .04
Bibliometric Analysis of Research on Gender Equality in the Maritime Industry
새한영어영문학
2024 .08
Literature as a Call for Societal Change: Koji Suzuki’s Ringu
동서비교문학저널
2020 .12
[너의 이름은.(君の名は。)]에 나타난 젠더 시스템 고찰
일어일문학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