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2019
2017
1. 들어가며
2. 어학 텍스트로서의 구조와 편찬 원리
3. 계몽 텍스트로서의 역할과 의미
4. 결론: 방법으로서의 中西倂用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근대 초기 소규모 자급자족형 교과서 생태계 고찰 ?중국 교과서 생태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문학
2017 .08
주역 몽괘(蒙卦)의 상징과 교육적 의미
동양고전연구
2015 .01
발몽(發蒙)하려고
월간에세이
2019 .09
중국 근대 교과서 생태계 연구 : 인문 계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04
2012년 검정 『중학교 역사 ②』 교과서의 비교 분석 -‘대한민국의 발전’ 단원을 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
2019 .01
현대 한국어문학 형성기 漢字語의 表記와 漢字?한글 使用의 문제 ?池錫永의 「국문론」, 『言文』 등을 중심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2020 .01
중서 문화 교류사 연구의 고전 ― 『중서교통사 1~5』 (방호 저, 손준식・유진희 역주, 학고방, 2019~2021) ―
동양사학연구
2021 .12
중국 전통과 서양 근대의 불안한 공존: 당종해(唐宗海)와 중서회통의경정의(中西匯通醫經精義)
의료사회사연구
2020 .01
지역 개념을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담기 : 2022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4 .12
19세기 한문역사교재 蒙學史要에 대한 고찰
동방한문학
2020 .01
2015 개정 초등영어 교과서 문화 분석 -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9 .06
『四聲通解』에 인용된 『蒙古韻略』과 『蒙古字韻』의 비교연구 ? 齊薺霽韻을 중심으로
중국언어연구
2020 .01
『續蒙求分註』에서 인용한 서적과 그 학술사적 의미
민족문화
2023 .11
張賢亮의 ≪男人的一半是女人≫의 서사전략 - 이데올로그 비판과 구축의 전략
중국어문논총
2015 .06
新しい近代を求めて : 土着的近代論の提案
원불교사상연구원 학술대회
2018 .08
宋代의 蒙學 詩歌 敎材와≪唐賢詩範≫고찰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0 .11
식민지근대화라는 환상과 공산주의라는 증상
현대정신분석
2022 .08
교과서 목록 조사 및 교과서 보존 방안 연구 - 제1차 교육과정기 이전 작문 교과서를 중심으로
작문연구
2023 .03
한국불교의 근대와 탈근대- ‘주체적 근대’ 확립의 과제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
2019 .01
근대일본의 한국사관 형성과정과 교과서의 역사왜곡 실태 분석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