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어사전에서 외래어 기술에 대한 문제 : 외래어 발음 표시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5 .11
[주제발표] 국어사전에서의 발음표시
어학연구
1987 .03
한국어 TTS 외래어 발음 처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어문론집
2020 .09
외래어 표준 발음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어학
2007 .05
국어사전에서의 발음 정보 처리에 대하여 : 『새 연세사전』의 발음 정보 제시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사전학
2008 .10
국어사전의 발음표시에 대하여
어학연구
2012 .12
표준 발음법과 현실 발음 검토를 통한 한국어 발음의 이해 - 이진호, 『한국어의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 아카넷, 2012 -
이화어문논집
2020 .01
초등 국어사전의 발음 정보 제시 방안 연구
한국사전학
2009 .04
“국어사전에서 외래어 기술에 대한 문제”에 대한 토론문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5 .11
≪모던조선외래어사전≫의 외래어 표기 연구 - 자음 [s]와 모음 [ə]를 대상으로 -
이중언어학
2005 .01
우리말에 들어온 일본식 외래어 분석
한국민족문화
1998 .06
외래어 수용에 관한 임계사용자 가설 : 영어 외래어를 중심으로
어학연구
2005 .03
‘Xㅣ+어Y’ 음운환경에서의 표준 발음에 대한 타당성 검토
국어교육연구
2019 .10
발음교정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영어 발음 습득 연구
인문학연구
2005 .12
외래어에 대하야 (3)
한글
1936 .12
[고찰과 연구] 우리 말에 들어오는 외래어를 어떻게 대할것인가?
중국조선어문
1996 .07
우리 말의 외래어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1983 .05
외래어에 관하여
한글
1970 .09
표준발음법에서 인정하지 않는 첨가음 발음교육연구-후행 두음이 격음이거나 경음일 때 그 앞에 첨가되는 음운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200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