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험
Ⅳ. 실험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표준 발음법과 현실 발음 검토를 통한 한국어 발음의 이해 - 이진호, 『한국어의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 아카넷, 2012 -
이화어문논집
2020 .01
한국어의 음운현상이 영어 발음 습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어
2001 .09
‘Xㅣ+어Y’ 음운환경에서의 표준 발음에 대한 타당성 검토
국어교육연구
2019 .10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발음평가 DB 구축을 위한 한국인 평가자 연구
언어과학연구
2008 .06
수자의 발음을 두고
중국조선어문
2018 .05
영어의 모음발음에 대한 비교연구
언어학
2003 .04
한국어 TTS 외래어 발음 처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어문론집
2020 .09
영어 발음 교재에서 세계 영어 발음에 대한 교재 분석
신학과세계
2017 .03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발음 영역 문항 분석
우리말글
2015 .06
자연스러운 TTS 구현을 위한 ㄴ 첨가 처리 방안 :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의 조화 모델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8 .03
ㄺ, "ㄼ"의 발음 실현 양상과 원인 분석
한국어학
2009 .02
표준발음법에서 인정하지 않는 첨가음 발음교육연구-후행 두음이 격음이거나 경음일 때 그 앞에 첨가되는 음운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2008 .01
일본어 발음교육의 한 문제(Ⅰ)
언어학
1992 .04
영어발음교육에 대한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인식
새한영어영문학
2010 .11
English Pronunciation Errors and Pronunciation Teaching
영어영문학
2003 .12
컴퓨터 기반 영어발음학습에 관한 음성학적 연구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03 .07
한국어 발음교육의 요소와 범위
한국민족문화
2016 .02
영어 발음 평가 방법 연구
영어영문학
2003 .02
Imagery for /reɪt/ Pronunciation [Right/write] : “The Sound of English”
국제언어문학
200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