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삼국유사』 속 용 서사에 나타난 문화충돌과 문화적 공존에 대한 고찰
공존의 인간학
2023 .07
울산 천전리 서석 암각화의 용
한국고대사연구
2015 .03
한국인의 곰, 호랑이, 용 숭배와 평창군 설화속의 호랑이와 용
강원민속학
2015 .12
『삼국유사』용성(龍聖) 구현 설화의 양상과 그 의미
어문학
2015 .06
[문학 · 문화학] 한국 호랑이의 문화 상징적 가치와 의미
국제언어문학
2019 .04
일본의 애묘(愛猫) 문화 고찰
日本語敎育
2024 .06
중국 영화에 재현된 서역 이미지에 대한 탐구 ― <신용문객잔>, <와호장룡>, <화피>, <몽키킹3: 서유기 여인왕국>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지
2023 .03
Korean Family’s Narratives: “Education Fever” and “The Dream of the Flying Dragon”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2016 .08
고려시대 쌍룡문경(雙龍紋鏡) 유입(流入)과독자성(獨自性)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9 .01
五方 체계로 본 五獸의 형성 과정
중국문화연구
2022 .11
명리학에서 백호(白虎)관념이 재신(灾神)·흉살(凶殺)로서 반영된 양상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24 .12
Propped Females in Frank Chin’s The Year of the Dragon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06
韓日古代「龍王」銘木簡再論
동서인문
2024 .08
유일본 『슈육문답』에 나타난 필사자의 용궁 인식
국학연구론총
2017 .01
ОБРАЗ ТИГРА В РОССИЙСКОМ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М ПРЕДАНИИ
외국학연구
2018 .01
동물담의 웃음 유발 방식과 특성 : 바보 호랑이 설화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5 .06
〈중화문명탐원의신화학연구〉와비물질문화유산 : 윈난성 이족의 ‘지룽(祭竜)’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8 .08
4차 산업혁명 사회 속 이미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토대로-
대동철학
2018 .09
한국의 수신(水神)으로서 용 개념의 함의와 정체성 문제 ― 미르와 거북신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철학논집
2024 .05
≪水滸葉子≫의 인물 敍事 試探
중국어문논총
201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