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형의 재발견: 물체에서 배우로
인문과 예술
2019 .01
신세계 질서의 불편한 진실을 고하다: ‘빵과 인형 극단’의 예술과 실천
현대영미드라마
2019 .08
동아시아 전통인형극 구음의 보편성과 한국적 독자성
민족문화연구
2017 .08
무대 위의 또 다른 배우 연구 - 인형에서 가상의 배우까지 -
인문과학연구
2020 .01
Puppet Theater, Woman Actor, and Hieronimo’s Playwriting in The Spanish Tragedy
영어영문학
2022 .03
遲子建 소설 ≪僞滿洲國≫ 속 ‘滿洲敍事’의 意義
중국어문논총
2015 .06
유네스코 국가무형유산 남사당놀이 꼭두각시놀음 등장인물의 성격연구 분석 -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를 중심으로 -
문화와 예술연구
2024 .03
꼭두각시놀음의 기존 음악 수용 연구 -꼭두각시거리에 등장하는 노래 분석을 중심으로-
민속학연구
2020 .06
인형극의 수용을 통하여 본 자아 찾기의 여정 : 폴라 보글의 The Long Christmas Ride Home
현대영미드라마
2016 .08
짐멜의 배우의 철학 – 감성적 인간의 한 가지 모델에 관하여 -
사회와 철학
2021 .04
탈 역사적 역사소설
국어국문학
2018 .06
만주국의 패망 전후 일제 식민당국의 동태와 사회 분위기
중국사연구
2023 .06
T V 멜로드라마의 ‘감정’의 수행 및 장면 구성 방식 연구 - 〈슬프고 찬란하神, 도깨비〉, 〈태양의 후예〉, 〈시그널〉의 배우 연기와 영상 구성 요소 및 O.S.T를 중심으로 -
한국근대문학연구
2021 .04
사이보그와 AI의 윤회와 해탈 가능성 검토 - <공각기동대>의 쿠사나기와 인형사의 경우 -
종교연구
2021 .04
김동인의 창작방법론과 그 실천 : 1920년대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16 .12
진흙 인형과 나무 인형
숙명문학
2019 .11
文化大革命 시기(1966-1976) 『人民日報』 보도를 통해 본 중국 정부의 한국 인식
역사문화연구
2021 .08
왕징웨이(汪精衛) 난징국민정부시기 화교 송금시스템의 변화 : 중국 화남(華南)지역 사례연구
중국근현대사연구
2018 .06
이상(李箱) 문학에서의 여성-동물과 여성-인형의 ‘몸’들
구보학보
2021 .08
초록 인형 외 1편
자음과모음
2022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