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Crisisonomy Crisisonomy 제12권 제5호
발행연도
2016.1
수록면
13 - 24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우리나라의 지방정부는 재난대응에 있어서 일차적 책임을 지닌다. 현재 지방정부의 재난관리 조직의 운영형태는 대체로 분산관리방식을 택하고 있다. 현재 지방정부별로 재난을 담당하고 있는 부서의 명칭과 운영체계는 통일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고, 재난관리업무 협조, 지역의 민간단체와 협력, 재난관리인력, 장비부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지방정부별재난관리 조직운영을 분석하여 한국의 지방정부 재난관리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지역 재난통합컨트롤 타워 확보를 통한 운영체계의 일원화, 상시기구와 비상기구의 혼란을 방지, 재난관련 유관부서의 이기주의 극복, 전문성과실효성 있는 재난관리 조직에 대한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본다. 지방정부의 특수성이 포함될 수있도록 포괄적인 범위에서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과 함께 적시적 여건과 전망 분석을 통해 현실적인계획 수립에 힘쓰고, 현재의 재난관리 역량수준을 진단하여 재난안전예산 확보를 위한 나름대로의근거를 마련하고 재난관리 역량의 강화에 노력을 쏟아야 할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