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동양학 동양학 제73호
발행연도
2018.1
수록면
41 - 66 (2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周易􋺸為先秦時期占卜用書,至儒學思想發展時期被逐一注釋。由於近年馬王堆及阜陽西漢時期帛書、竹簡 陸續被發現,加上1994年上海博物館藏戰國時期楚地竹簡中所含􋺷周易􋺸,學界出現各種與􋺷周易􋺸相關研究成 果。本稿中,我們嘗試以漢語音韻學的研究角度出發,結合歷史語言學相關理論,對􋺷周易·訟卦􋺸提出新的解 釋。通過這樣研究,可知以下幾個點: 1. 我們對“惕” *l̥eka與“啇” *teka聲字“ ”異文出現原因的解釋與野原將揮不同。我們認爲上古音清流音(liquid) *l̥-至少至戰國時期開始逐漸變爲中古音音值tʰ-。 2. 本卦初六爻之“不出御事” *pɨʔb.kʰʲut(s)b.ŋasb.dzrɨsb中出現“御” *ŋasb及今本“所” *sŋraʔb之對應表明本句 之“出”實為致使用法的*kʰʲutsb>tʰjwiʾ。 3. 我們發現本卦九二爻“ ” *sreŋʔb體現出兩種特徵。1)上博􋺷周易􋺸書寫者對詞素*sreŋʔb具“宗教的”觀念, 因此“眚”字中增加與祭祀有關部首“示”。2)與上博“ ”對應馬帛“省”*seŋʔb,除了音值相似性外,還有中 綴*-r-之有無差別的引申關係。 4. 從音韻學角度看九四爻中出現今本“渝”、馬帛“俞” *lob與上博“愈” *loʔb之異文原因在於其後音節“安” *qana~ ʔana之聲母給予前音節的影響。 5. 今本“鞶帶”對應上博“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