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사 개요』(1957)의 早期봉건사회설과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사강좌
사학연구
2020 .03
일제의 역사기록 수집·정리와 조선사 편찬
역사문화연구
2019 .01
구로이타 가쓰미(黑板勝美)의 한국사 인식과 조선총독부의 수사사업(修史事業)
역사학연구
2017 .01
‘만주’ 표상의 조선 고대사 -1950~60년대 북한 역사학계와 고대사 연구의 지향-
한국고대사연구
2023 .12
식민 통치와 수사 사업— 조선총독부의 사료 수집과 활용 —
日本思想
2019 .01
식민사관의 차질(蹉跌) -조선사학회와 1920년대 식민사학의 제도화-
韓國史學史學報
2016 .12
1920년대 『동아일보』 조선사 관련 기사 데이터베이스 검토: 문화운동의 역설
동방학지
2022 .03
안확의 ‘조선’ 연구와 문명의 발견
한국철학논집
2017 .02
20세기 조선인의 만주 체험 기록 속의 국경, 너머의 일상
온지논총
2020 .01
2020년 간행(2018년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의 조선사 서술 검토
한국사학보
2020 .08
1920~30년대 종합잡지 수록 조선사 관련 기사의 통계적 분석 : 『개벽』, 『삼천리』, 『신동아』를 중심으로
동방학지
2023 .03
1920년대 문화사학자의 민족 자각론과 한국상고사 인식
역사와 담론
2023 .04
1930년대 靑丘學會의 설립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1 .01
1920~40년대 만주지역 사진자료의 분석 - 『아동인화집(亞東印畵集)』과 『아세아대관(亞細亞大觀)』을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3 .03
Moving Beyond Politics: Western Scholarship on Joseon
Korea Journal
2021 .09
일본 근대역사학의 성립 발전과 · ‘조선’의 위상 : 실증주의 역사학의 궤적과 그 그림자
동서인문학
2016 .12
谷口園 鄭象觀의 『史記』 애호와 그 의의 -「讀馬史」 및 南漢朝와의 왕복 서한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4 .08
국방역사서 편찬에 관한 연구
군사연구
2020 .01
국사를 넘어선 역사교육
대구사학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