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제4권 제1호
발행연도
2004.1
수록면
38 - 44 (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배경 저밀도 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은 다양한 크기 , 밀도, 조성을 가지는 입자로 혈중에 분포하며 이중 smal dense LDL은 저밀도 지단백 수용체 친화도가 낮고 proteoglycan 친화도가 높아 혈관 내벽을 잘 통과하며 산화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화학적 특징으로 인해 smal dense LDL은 죽상경화를 잘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증가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 하지만 저밀도 지단백 입자의 분포는 한국인에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본 연구에서는 LipoPrint LDL System을 이용하여 93명(50.1±7.5 세)의 한국인 성인 남자의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방 법 공복 후 채혈한 혈청 검체를 이용하여 LipoPrint LDL System(Quantimetrix Corp., Redondo Beach, CA, USA)으로 저밀도 지단백 아형(subclass; subfraction)을 분석하였고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에 따라 저밀도 지단백 표현형을 A형, I (intermediate)형, B형으로 분류하였다.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가 268 Å 보다 큰 경우 A형, 265 Å에서 268 Å 사이인 경우 I형, 265 Å 보다 작은 경우 B형으로 분류하였다.결 과 한국인 성인 남자의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는 265.1±4.7 Å이었으며 A형, I형, B형의 분포는 각각 30.1%, 30.1%, 39.8%이었다. 그리고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는 중성지방 (Triglyceride; TG) 농도에 음의 상관관계 (r=-0.667, P<0.001)를 보였으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농도와는 양의 상관관계 (r=0.479, P<0.001)를 보였지만,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농도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