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신학과 선교 신학과 선교 제46호
발행연도
2015.1
수록면
77 - 115 (3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한국 교회는 위기 가운데 놓여 있다. 과거 한국 교회는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사회 발전을 위해 커다란 공헌을 했다. 그러나 교회의 오늘날 사회에 대한 긍정적 기여도가 현저하게 낮아진것 또한 사실이다. 이런 도전들은 교회가 자기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정체성을 확고히 수립하는 것을 중요한 과제로 남겨 주었다. 특히 삶의영역에서 구체적이며 긴급하게 제기된 문제에 교회론적인 대안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은 교회가 당면한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실로“세상의 빛과 소금”(마 5:13-14)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지 물어야 할때인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게 하였다. 교회의 현실과 미래를 생각하면서 교회를 위한 교회론을 펼칠 수 없는가? 교회의 현실과 미래를 생각할 때, 교회는 자신의 본질과 정체성을 어떻게자리매김할 수 있으며, 또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본 논문은 이런 문제의식을 갖고 시작되었다. 그렇다고 교회의본질과 정체성에 대한 절대적인 대답을 추구하지는 않는다. 이는올바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또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교회의 가르침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생각하며 동시에 교회의 삶을 고려하여서 도움과 조언을 줄 수 있는하나의 교회론적 기초를 마련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원그리스도교 공동체가 수립했고, 지키려고 했던 정체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은 도움이 된다. 가장 처음 우리에게 교회를 전해준 그들은 자신들을 무엇이라 이해했는가? 그리고 세속과 유대교라는종교 사이에서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는가? 이런 질문은현재 교회가 참된 교회로 계속 머물기 위한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이 글은 신약 성서에 등장하는 교회, 에클레시아(evkklhsi,a) 를 를 추적하여 원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자기 이해와 교회의 정체성을살펴보며, 이를 바탕으로 교회론을 새롭게 정의한 후에, 교회의 삶에봉사하며 도움이 되는 교회론적 기초를 예거의 모델을 중심으로제시할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3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